ADVERTISEMENT

'실세 차관' 서주석 1년만에 청와대行…전작권 전환 첫 과제될 듯

중앙일보

입력

24일 김유근(62) 국가안보실 1차장의 후임으로 발탁된 서주석(62) 신임 1차장은 국방부 차관 시절인 2018년 9·19 남북 군사분야 합의를 주도한 인물로 꼽힌다. 또 노무현 정부 이래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등 한미 동맹 조정에서도 역할을 해왔다. 이번 인선에도 전작권 전환과 남북관계 복원 시도라는 청와대의 의지가 작용했다는 평가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2019년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22 국방부 청사 차관실에서 중앙SUNDAY와 인터뷰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2019년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22 국방부 청사 차관실에서 중앙SUNDAY와 인터뷰하고 있다. 신인섭 기자

1958년 경남 진주 태생인 서 신임 1차장은 서울대 외교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34년간 한국국방연구원(KIDA)에서 국방 문제를 연구한 안보 전문가다. 참여정부 당시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기획실장과 통일외교안보 수석을 맡았다. 자주외교를 강조하는 이른바 '자주파'로 분류되며 주요 안보정책에 깊숙이 관여했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서 차관은 2017년 6월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국방부 차관에 취임했다. 당시 국방개혁 작업을 주도하며 '실세 차관'으로도 불렸다.

이런 이력에 현 정부의 안보팀 내 대북 대화론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인물이란 평가도 받는다.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평화수역화’ 작업이 대표적 사례다.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외교안보 분야 정책결정 과정에 깊이 개입한 그는 2007년 노 전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서해를 평화수역으로 조성하는 합의를 맺었을 때 중추적인 역할을 맡았다. 이밖에 북한 장거리미사일 발사(2006년 7월), 1차 핵실험(2006년 9월) 등 도발 대응을 비롯해 군 구조 개혁, 전작권 전환 등 핵심 현안을 다루기도 했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 출범 전 연구원에 복귀했다. 한 소식통은 “정권이 바뀌자 ‘서주석을 해고하라’는 압박이 심했다”며 “한동안 논란이 있었지만 해고할 명분은 없고, 법리적으로 문제도 있어 없던 일이 됐다”고 전했다.

이후 11년 만에 국방부 차관으로 공직에 복귀한 그는 9·19 남북 군사합의의 숨은 주역으로 활약했다. 2018년 9월 28일 판문점선언과 평양선언을 포괄하는 ‘남북정상선언’ 이행추진위원회에서 군비통제 분과위원장으로 관련 협의를 총괄하기도 했다. 남북관계가 순풍을 타던 당시 그는 군사분야 합의 이행 여부를 점검하는 남북군사공동위원회(군사공동위)에서 남측 위원장을 맡을 것으로 관측되기도 했다. 하지만 북한이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면서 군사공동위는 출범하지 못했다.

2018년 11월 서주석 당시 국방부 차관(오른쪽 두 번째)이 공동취재 기자단과 함께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현장을 방문해 공사 관계자들로부터 현황을 듣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사진공동취재단]

2018년 11월 서주석 당시 국방부 차관(오른쪽 두 번째)이 공동취재 기자단과 함께 화살머리고지 유해발굴 현장을 방문해 공사 관계자들로부터 현황을 듣고 장병들을 격려했다. [사진공동취재단]

서 신임 1차장은 지난해 5월 국방부 차관에서 나온 뒤 KIDA 책임연구위원으로 복귀했다. 지난 13일 고 백선엽 장군 빈소에 모습을 나타냈을 뿐 그동안 대외 활동도 자제해 왔다.

관련기사

박원곤 한동대 국제지역학과 교수는 “경험과 이론을 모두 갖췄고, 현 정부의 정책도 이해하고 있어 남북한 문제뿐 아니라 국방개혁과 전작권 전환 완성, 한미동맹 역할 변화 등 다양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선 배경을 잘 아는 한 소식통은 “서 신임 1차장이 당면한 가장 큰 과제는 전작권 전환 작업”이라며 “남북관계 개선 외에도 해야 할 일이 많다”고 말했다.

박용한ㆍ이근평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