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길·스키장 부상땐…]

중앙일보

입력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빙판길에 넘어지거나 스키를 타다 골절, 인대가 늘어나는 스포츠 부상이 잦다. 겨울철에 넘어져 생기는 골절과 '스키 부상' 에 대해 알아본다.

◇ 엉덩이 부위 골절〓가장 심각한 골절이다. 골다공증 노인에게 흔히 발생한다. 이들은 엉덩이 부분의 뼈와 근육이 약해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추울 때는 근육이 경직되고, 유연성이 떨어져 가볍게 미끌어져도 골절이 잘된다. 주로 엉덩이뼈 윗부분이 잘 부러진다.

인제대 의대 상계백병원 정형외과 성열보 교수는 "노인의 경우 넘어진 뒤 별로 다친 것 같지 않아도 거동이 불편하면 골절 여부를 즉시 확인해야 한다" 고 말한다.

골절이 되면 우선 통증이 심해진다. 그러면 꼼짝달싹할 수 없어 누워 있게 되고, 이는 결국 폐렴.피부 욕창.방광염.변비 등 새로운 병을 만든다.

또 혈액순환 장애로 다리 정맥에 혈액이 뭉치고 고이는 혈전이 생기기 쉽다. 혈전이 폐동맥을 막으면 중병으로 발전한다. 이런 골절이 생기면 즉시 전문가를 찾아가야 한다.

수술을 못 견딜 만큼몸 건강상태가 나쁘지 않는 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성 교수는 "가벼운 골절은 나사로 부러진 뼈를 고정하는 수술을 하고, 심한면 인공관절을 삽입한다" 고 말했다.

◇ 손목 골절〓미끄러운 길을 걷다가 넘어지면서 손을 짚을 때 많이 일어난다. 환갑이 지난 여성들에게 흔한데 손목이 아프고 부으면서 피멍이 나타날 수 있다.

서울대 의대 정형외과 정문상 교수는 "뼈가 부러지자마자 제대로 치료받아야 손목 변형이 안되고 손목이 제기능을 할 수 있다 "며 "손을 짚고 넘어진 후 통증과 부종이 있을 땐 즉시 응급 진료를 받아야 한다" 고 조언한다.

뼈가 변형되면 최소한의 손 놀림은 가능하지만 운동 등은 어렵다. 부러진 뼈가 별로 어긋나지 않았을 땐 뼈를 맞춘 뒤 고정시키고 석고붕대로 6~8주간 고정하면 된다. 그러나 많이 어긋나 있으면 뼈를 맞춘 뒤 핀으로 고정하는 수술을 받아야 한다.

◇ 척추 골절〓넘어지거나 주저앉을 때의 충격으로 척추가 압박을 받아 생긴다. 주된 증상은 심한 허리 통증. 앉거나 서 있기가 힘들다. 누웠을 때도 돌아눕기가 어렵다.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강승백 박사는 "심한 허리 통증은 가만히 둬도 2~3주 계속되다 차츰 좋아지지만 두세달씩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고 말한다. 다행히 골절로 인해 신경이 마비되는 경우는 드물다.

치료는 대부분 심한 통증이 덜해질 때까지 안정을 취하는 것. 단 노인의 경우 장기간 누워있으면 욕창.폐렴 등의 합병증이 잘 생기므로 진통소염제를 먹으면서 보조기.코르셋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1주일 이내에 움직이도록 해야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스키 부상〓대부분 자신의 실력보다 어려운 슬로프를 타다 일어난다. 게다가 국내 스키장은 인파가 많아 충돌로 인한 부상이 많다.

추위로 관절이 굳어 작은 충돌로도 골절.인대 손상.관절이 빠지는 등 중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가장 흔한 부상 부위는 무릎. 인대나 연골이 많이 다치는데 부상이 심하면 통증과 부기가 심하다. 가벼운 부상일 때엔 견딜 만큼 아프다가 4~5일 후 부기와 통증이 가라앉는다.

그러나 견딜만 하다고 제대로 치료를 안받았다가 만성관절염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스키를 타다 넘어져 무릎 통증이 있으면 반드시 전문가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

경희대 의대 정형외과 배대경 교수는 "무릎 안쪽 인대 일부가 파열된 경우엔 1~2개월, 좀 더 심하게 다치거나 무릎 연골이 손상되면 3~9개월 정도의 치료와 회복기간이 필요하다" 고 설명한다.

무릎 부상 예방의 최선책은 안전수칙을 잘 지키는 일이다. 플레이트와 부츠를 고정하는 바인딩을 점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바인딩을 너무 강하게 조이면 넘어질 때 플레이트에서 부츠가 분리되지 않아 부상이 심해진다. 일단 부상을 입었다 싶으면 구조요원의 도움을 받아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