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재규 "유신 헌법을 놓고 볼때···" 판사 "진술 그만하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신 체제의 중심에 있었던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갑작스레 박정희 전 대통령을 암살한 것은 한국 현대사의 가장 큰 물음표 중 하나로 남아있다. 차지철 경호실장과의 갈등설부터 미국 CIA 배후설까지 다양한 시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김재규 전 부장을 비롯한 사건의 당사자들이 대부분 사망했기 때문에 사건의 진상은 추론의 영역으로 남게 됐다.

발굴! 그때 그 목소리, 10·26 ④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은 법정 진술에서 10ㆍ26의 동기를 ‘유신체제’라고 줄곧 주장했다.
그는 1심 재판에서 “유신체제가 출범해서 7년간이라는 세월이 흐르는 동안에 여기 계신 여러분들도 솔직한 얘기로 자유 민주주의 희망 안 한 사람이 있었냐”며 “대한민국 국민 3700만이 어른, 애 할 것 없이 자유 민주주의 갈망 안 하는 사람 하나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1972년 10월 유신이 반포되면서 보니까 이것은 국민을 위한 헌법이 아니라 대통령 각하께서 계속해서 집권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헌법이었다. 자유민주를 회복하는 것이 저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10ㆍ26 1심 재판 당시 발언 중인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사진 JTBC]

10ㆍ26 1심 재판 당시 발언 중인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 [사진 JTBC]

10ㆍ26 1심 재판 당시 재판정 [사진 JTBC]

10ㆍ26 1심 재판 당시 재판정 [사진 JTBC]

그렇다면 하필 1979년 10월에 방아쇠를 당신 이유는 뭘까.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은 ‘부마항쟁’이었다는 것이 김재규 측의 설명이다. 부마항쟁은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에서 시민들이 유신 독재에 반대하며 일으킨 시위다.
김 전 부장은 “각하는 ‘이제부터 (부마)사태가 더 악화하면 내가 직접 쏘라고 발포 명령하겠다’, ‘대통령인 내가 명령하는데 누가 날 총살하겠느냐’ 이렇게 말씀하셨다. 차지철 경호실장 같은 사람들은 ‘캄보디아에서는 300만이라고 하는 것도 희생시켰는데 우리 대한민국 일이백 만 희생하면, 희생한다고 까짓것 뭐 문제 될 것 있느냐’고 했다. 소름이 끼칠 일들”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진술을 두고 김 전 부장 측과 재판부 간에는 실랑이도 벌어졌다.
김 전 부장이 “유신 헌법을 놓고 볼 때…”라고 언급하자 재판부는 “진술 그만하라”고 제지했다. 이에 김 전 부장의 변호인이 “이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동기”라며 항의하자 재판부에서는 “법정 질서에 도전하냐”며 응수했다. 또 재판부는 “부산마산 사태에서 희생자가 있냐”고 추궁했고, 김 전 부장은 “죽은 사람은 없다”고 답했다.

한편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생전에 중앙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김재규 전 부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김 전 총리는 “(김 전 부장은) 재판정에서 자기가 무슨 한국의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처음부터 계획적인 혁명을 일으켰다고 주장했는데, 주변 사람들이 부추기는 바람에 스스로 속아 꾸민 얘기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1978년 2월 김 전 부장이 찾아와 “박정희 대통령을 종신 대통령으로 모시는 임무에 모든 기능과 자원을 집중할 것”이라며 “(박 전 대통령의 지시가 아닌) 제가 발상한 것”이라고 밝혔다는 일화를 전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발굴! 그때 그 목소리, 10·26]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