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난 5년간 국내 블록체인 산업에 무슨 일이? (by 블로코)

Join:D

입력

업데이트

[출처: 셔터스톡]

2016년 공인인증서 의무 사용이 폐기되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대체 보안 기술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후 블록체인 기반 부가서비스와 플랫폼 개발이 이어지고, 정부 지원 사업도 본격화됐다. 최근에는 분산신원인증(DID)이 블록체인 서비스 게이트웨이로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기업 블로코는 보고서 ‘블록체인 한국사 톺아보기’를 통해 2016년부터 최근까지 국내 블록체인 산업 발전 추이를 되짚어봤다. 

#2016년 블록체인이 공인인증서 대체?

보고서는 2016년 블록체인이 공인인증서 대체 보안 기술로 주목을 받게 시작했다고 전했다. 간편 로그인이나 정보보호 등을 포함한 인증ㆍ증명 분야에 사업이 집중됐고, 일부 기업과 기관이 블록체인 시범적용(PoC)을 시작했다는 평가다. 

금융권의 활약이 돋보인다. KB국민은행은 비대면 실명확인 증명자료 보관시스템을 내놨고(16.4), 국내 금융사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간편 개인인증 시스템도 도입했다(16.10), NH농협은행은 기존 지문인증에 블록체인을 결합해 인터넷뱅킹 보안을 강화했다(16.10).

#2017년 IoTㆍ전자투표... 부가서비스 확대

사물인터넷(IoT)과 전자투표, DID 등 블록체인 기반 부가서비스가 주목 받기 시작했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특히 한국예탁결제원이 업무 전반에 블록체인 도입을 발표하는 등 금융권 관심이 높아진 시기라는 분석이다. 블록체인 관련 국내 기술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도 부각되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ㆍ금융보안원 등 주도로 표준화 협의회, 표준화 포럼 등이 발족되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정부의 블록체인 지원 계획이 기반을 다진 기간이다. 해외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다. 디지털지갑ㆍ결제ㆍ송금 서비스, P2P시장, 투자ㆍ대출, 분산저장 등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을 접목하는 스타트업이 다수 등장했다. 

대표적 사례로 SK텔레콤의 개인건강데이터 기반 보험요율 산정, 교보생명의 블록체인 인증 기반 실손의료보험금 청구의 원스톱 자동화, 한국전력공사의 세대 간 직접적인 P2P 전력거래 가능한 블록체인 전력거래 플랫폼 등이 꼽힌다.

#2018년 ‘플랫폼’으로서 주목 받아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은 블록체인 표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던 시기다. 동시에 플랫폼으로서 블록체인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서울시는 블록체인 표준 플랫폼을 구축했고, 한국조폐공사는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개방형 플랫폼 '콤스코(KOMSCO)'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행정안전부는 블록체인 기반 전자증명서 발급ㆍ유통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블록체인 산업 지원정책을 본격화했고, 전국 지자체에서도 여러 블록체인 사업에 착수했다.

관세청은 전자상거래물품 개인통과 시범 서비스를 선보였다. 전자상거래업체의 주문정보와 운송업체의 운송정보를 블록체인 통해 실시간 공유하는 서비스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 관리 시스템 시범사업을, 국토교통부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종합공부시스템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투표 시스템을 내놓았다.

#2019년 정부 지원 사업 ‘봇물’

2019년은 정부 지원 사업이 대거 나온 시기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크게 세 기관이 주도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공공 선도 시범사업과 민간 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전문기업 육성사업을 시행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블록체인 연구 개발 사업을 분담했다. 세 기관이 250억원 이상의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했다. 

민간 주도 국민 프로젝트 가운데 현대오토에버의 블록체인 기반 중고차 서비스 플랫폼은 중고차 서비스의 단계별 주요 이력을 공유, 정보 위ㆍ변조를 사전방지했다. SK텔레콤은 블록체인 ID/인증 플랫폼을 통한 모바일 신분증을 개발했다.

#2020년 DID, 블록체인 게이트웨이로 부각

2019년까지만 해도 개별 서비스의 하나로 취급받던 DID가 올해 블록체인 사업 대다수의 기반 기술로 떠올랐다. DID는 정보 위ㆍ변조 가능성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기존 중앙집중화 방식의 ID 한계인 정보 유출의 가능성을 없앨 수 있다. 특히 한번만 인증 받아 스마트폰 등 개인 단말기에 저장하면 금융권 비대면 계좌 개설은 물론, 여러 홈페이지에 흩어져 있는 ID와 비밀번호의 관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개인정보관리ㆍ사용자인증ㆍ전자계약 등 여러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낸다.

경찰청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을 선보였고, 보건복지부는 복지급여 중복수급 관리 플랫폼을 구축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수입식품 위생증명서 진위 여부 실시간 확인을 위한 블록체인 식품안전 데이터 플랫폼을 출범했다. 세종시는 블록체인 기반 자율주행차 신뢰 플랫폼을, 한국도로공사는 상호신뢰 통행료 정산 플랫폼을 선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비접촉ㆍ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늘면서 이러한 추세가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블로코 김원범 대표는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시대로 경제 및 산업 구조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블록체인이 핵심 기술로 재조명 받고 있다. 특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DID는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끌 핵심 서비스로 평가된다. 온ㆍ오프라인에서 금융ㆍ이커머스ㆍ게임ㆍ결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매번 ID 인증을 받아야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고 말했다.

권선아 기자 kwon.se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