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모식품

중앙일보

입력

- 동물성 단백질보다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참고로 쇠고기, 양, 닭, 생선 등은 맥주효모의 50%에 불과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 효모식품을 공복에 섭취시 위산이 과다분비되므로 요구르트, 수프 등 다른 식품과 같이 섭취하면 소화가 용이하다.

- 살코기에 비해 Vitamin B군과 무기질이 많으며 핵산, 크롬, 셀레늄도 공급해 준다.

- 또한 저지방, 저칼로리이며, Cholesterol이 없는 질 좋은 단백질을 공급하므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 당뇨병, 저혈당인 경우에 적합하다.

- 맥주효모식품에는 Lecithin이 혼합된 것도 있는데 Lecithin은 동맥경화에 도움을 주는 유화제로 알려져 있다.

▣ 식품공전상의 기준

정의: 효모식품이라 함은 식용효모 또는 이를 주원료로 하여 섭취가 용이하도록 액상, 페이스트상, 분말, 과립, 정제, 캅셀 등으로 가공한 것을 말한다.

▣ 용어의 정의

  • 건조효모: 식용효모균주를 분리, 정제, 건조한 것을 말한다.

  • 효모추출물: 식용효모균주를 분리, 정제한 후 자가소화 등의 방법에 의해 추출물을 분리한 것을 말한다.

    ▣ 성분배합기준

  • 건조효모가공식품: 식용건조효모 60%이상

  • 효모추출물가공식품: 식용효모추출물 고형분 함량으로 30%이상 (단, 액상제품은 15%이상)

    ▣ 표시기준

  • 식품의 유형에 따라 식용건조효모, 식용효모추출물, 건조효모가공식품, 효모추출물 가공식 품으로 구분 표시하여야 한다.

  • 효모추출물가공식품은 건조효모로 환산된 양을 표시하여야 한다.

  • 식품의 유형 다음에 괄호로 사용한 효모의 종류명 및 함량을 표시하여야 한다.

  • 권장섭취량 및 섭취방법을 표시하여야 한다.

    ▣ 생리활성 물질

  • 천연 Vitamin B-comp, 16종의 아미노산, 17종의 Vitamin(A, C, E는 없음), 식물성 단백질, 핵산, 모든 Mineral과 미량원소가 인체가 필요로 하는 거의 완벽한 형태로 함유됨.

    ▣ 생리활성작용

  • Vitamin B군의 영양원이다.

  • Vitamin B15로 알려진 Pangamic acid는 Selenium, Tocopherol, Vitamin C, β-Carotene에 이어 제5의 항산화제이다. 세포막과 생체막의 불포화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한 과산화지질 생성을 억제, 산소가 세포막을 원활히 투과되는 것을 돕는다.

  • Selenium, Chromium이 다른 어떤 식품보다 풍부하다.

  • Selenium은 항산화력이 d-α-Tocopherol의 1,970배에 달한다.

  • 암예방과 방사선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식이요법에 좋으며, 허혈성심질환, 부정맥 등에 유리하다.

  • 영양소로서 3가 Cr은 간장이나 장내 세균에 의해 GTF(Glucose Tolerance Factor)라는 화합물로 되어 당내성능을 좋게하여 당뇨를 개선시키며, 동시에 혈중 Cholesterol치를 저하시킨다.

  • Mineral: 맥주효모에는 칼륨이 풍부, 세포내액의 산알칼리 평형을 유지한다. 소금섭취와 관련된 고혈압환자에 적절하다. 인이 많고 칼슘이 상대적으로 적은 결함이 있지만, 훌륭한 Mineral 공급원이다.

  • Nucleic Acid: 정어리의 7배가 넘는 핵산이 들어있다. 노화방지, 세포의 신구교체, 기억물질 합성에 없어서는 안될 물질로 노령과 더불어 보충이 필요하다. 그러나 핵산이 Purine체를 생성하고 Purine은 요산을 유도체로 남기므로 통풍환 자에게 맥주효모는 금기이다. 칸디다증에도 금물이다.

  • Polysaccharides: 영지버섯이나 클로렐라에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식물다당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특히 β-Glucan은 면역기능을 향상시켜 각종 암이나 바이러스성 간염을 개선 시키는 작용이 있다.

  • 효소: 건조효모가 소화효소제로 쓰여왔으며 각종 가수분해효소가 풍부하여 소화액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결함을 시정해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효소식품으로 알려진 현미효소보다 효소가 풍부하다.

  • Choline: 신경전달물질인 Acetylcholine의 원료이며 지방간을 예방하는 영양소이다.

    ▣ 적응증

    식욕촉진(위액분비촉진, 위점막세포 재생촉진, 혈당조절) 항암 및 제암작용, 고혈압, 변비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