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 언제 좋을까" 물었더니…교사 60% "질본 따를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온라인 화상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온라인 화상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교육 현장에서 '온라인 개학'이 한창인 가운데, '등교 개학' 시기에 대해 교사들 과반은 질병관리본부의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사노동조합연맹이 지난 25일~27일 전국 교사 3006명을 대상으로 실시(응답 2998명)하고 28일 발표한 설문 결과를 보면 '질병관리본부의 결정에 따름'이라는 대답이 59.2%로 가장 많았다.

'확진자 추이 현 상태 시 5월 연휴 이후 개학'이라고 답한 이들은 14.6%, '확진자 0명 시 바로(개학을 전제로 준비 후 대기 상태 유지) 개학'은 11.8%, '확진자 0명 2주 후 개학'은 9.3%로 집계됐다.

등교 개학 긴급 설문조사. 자료 교사노동조합연맹

등교 개학 긴급 설문조사. 자료 교사노동조합연맹

교사노조연맹은 이러한 설문 결과에 대해 "교사들은 현 정부의 대응과 정책 결정을 신뢰하고 있으며, 코로나19 국면이 안정화 되는대로 준비 기간을 거쳐 등교 개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석했다.

등교방식(응답 2999명)에 대한 응답은 '학년 순차적 등교'(63.1%) '일시에 모든 학년 동시 등교'(19%), '학년별 오전 오후로 나누어 등교'(8.4%) 순이었다. 대다수 교사는 모든 학생의 일괄 등교 개학보다는 온라인 개학과 같은 방식의 학년별 순차적 등교 개학이나 순환 등교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