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눈밭 달리는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코아 박제로 만난다

중앙일보

입력

박제한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와 코아의 모습. [사진 서울시]

박제한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와 코아의 모습. [사진 서울시]

자연사한 시베리아호랑이를 다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서울대공원이 17일 공개한 시베리아호랑이 한울이·코아의 박제 과정을 담은 기록에서다. 한울이와 코아는 각각 2018년 12월, 2016년 10월에 자연사했다.

기록 속 박제된 두 호랑이는 눈밭을 달리는 모습을 하고 있다. 서울대공원 측은 “박제사들이 눈밭에서 놀던 호랑이들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다”며 “박제가 동물 자체만이 아닌 환경까지 한눈에 설명해줄 수 있는 교육적이면서 생명을 보존하는 작업인 만큼 흰 눈을 같이 배치해 관람객이 생태적 환경을 함께 배울 수 있게 했다”고 설명했다.

동물 박제는 냉동된 사체를 해동하고 가죽을 벗긴 뒤 철사를 넣거나 몸을 지지해 자세를 잡는 순서로 이뤄진다. 그러고 나서 표본 속을 채운 뒤 방부 처리를 거쳐 봉합하고 가죽을 덧씌운다. 털을 심거나 가죽을 정리하는 등의 후보정을 마치면 박제가 완성된다.

서울대공원에 따르면 작은 참새나 쥐는 박제하는 데 2주에서 한 달가량 걸리지만 호랑이처럼 큰 포유류는 6개월 이상 작업해야 정교한 박제로 만들 수 있다. 이번 시베리아호랑이 박제 작업은 1년 정도 걸렸다.

코아와 한울이. [사진 서울시]

코아와 한울이. [사진 서울시]

박제 작업에 참여한 경력 11년의 윤지나 서울대공원 박제사는“박제가 부자연스럽고 흉측하다는 것은 과거의 박제에서 생긴 고정관념”이라며 “박제는 죽은 동물과 깊은 대화를 통해 그의 모습을 재현해내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동물원의 목적이 전시에서 종 보전으로 바뀌듯 박제 또한 전시에서 교육적 기록이라는 가치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공원 측은 “멈춘 동물의 시간 속에서 자연의 변화와 동물의 특성, 살아온 환경까지 만날 수 있으며 동물과 공존해야 함을 배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대공원은 이번에 박제한 시베리아호랑이들을 어떻게 관람객에게 선보일지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 공원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외출을 삼가는 요즘 집에서 박제 과정 등을 간접 경험할 수 있게 기록 공개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