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대표적 귓병 외이도염의 예방과 치료

중앙일보

입력

무더위로 수영장을 자주 찾게 되면 외이도염에 걸리기 쉽다.

외이도염은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길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여름철에 특히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귓병이다.

수영장과 같이 오염된 물에 계속적으로 노출되면 외이도(外耳道) 피부의 보호막역할을 하는 지방이 제거되면서 세균이 쉽게 피지선으로 침입할 수 있게돼 염증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수영후 특히 면봉으로 귀를 후비는 것도 삼가해야 한다. 외이도에 불필요한 자극을 가해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외이도염은 항생제를 투여하고 외이도 깨끗히 청소하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당뇨병을 갖고 있는 고령자들은 이 병이 악화돼 간혹 생명을 위협받는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오승하교수의 도움말로 외이도염에 대해 알아본다.

외이도피부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귀에서 분비물이 나오고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된다. 외이도염의 원인은 세균성외에도 진균성(곰팡이)및 바이러스성이 있다. 이중 흔하게 걸리는 것이 세균성 외이도염인데 주증상은 귓바퀴를 만질때 발생하는 통증이다. 대부분의 경우 항생제를 복용하고 외이도를 깨끗히 청소하는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바로 좋아진다.

소양증(가려움증)은 외이도염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가려워 긁다보면 상처가 나고 염증이 심해져 증세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영을 한후 외이도에 통증과 가려움증이 있으면 바로 전문가의 치료를 받도록 해야한다.

외이도염에서 전신적 면역기능의 저하가 있는 환자의 경우 병발성 외이도염이나 악성 외이도염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병발성 외이도염은 특히 당뇨병이나 면역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심한 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급성 병발성 외이도염은 외이도가 지나친 고온, 다습한 환경, 국소외상등에 노출됐을때 발생하므로 더운 계절에 유의해야 한다.

악성 외이도염은 괴사성 외이도염이라고도 하며 대부분 고령의 당뇨병환자에서 발생하고 간혹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외이도염의 합병증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녹농균인데 최근에는 곰팡이균이나 결핵균도 종종 발견된다. 많은 경우에서 외이도염에 대한 국소치료에도 불구하고 병변이 진행돼 외이도의 뼈가 녹아내리고 뇌기저부의 골수염이 동반된다.

따라서 환자는 매우 심한 귀통증과 두통을 호소하며 이로 인해 잠을 자지 못할 정도로 불편함을 겪게된다. 또한 뇌기저로부터 빠져나오는 각종 뇌신경에 대한 마비가 일어나고 뇌막염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환자의 치료를 위해 고단위 항생제를 투여하며 때로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김영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