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교육부 양국 유학생 '출국 자제' 권고...中유학생 입국 줄듯

중앙일보

입력

지난 24일 단국대학교 중국인 유학생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뉴스1]

지난 24일 단국대학교 중국인 유학생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뉴스1]

한국과 중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양국 유학생 출국을 자제시키기로 했다.

28일 교육부는 중국 교육부와 이같은 내용을 담은 '한·중 유학생 상호 출·입국 자제 권고 합의'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 정부는 자국민 유학생에게 상대 국가로의 출국을 자제하라고 권고하기도 했다.

이번 합의는 강제성을 띄는 출·입국 금지가 아닌 자국 유학생에 대한 권고 형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학생의 입국 자체를 막는 건 아니지만 양국 학생이 안심하고 자국에서 머무르게 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유학생 출국 자제 권고를 합의한 배경에는 양국에서 커지고 있는 유학생을 통한 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코로나19가 종식되지 않은 중국에서 유학생이 대규모로 들어올 경우 국내 방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중국에서도 최근 한국인 입국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7일 경북 경산시 대동 영남대학교 생활관 앞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이 생활관 입소에 앞서 발열 체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27일 경북 경산시 대동 영남대학교 생활관 앞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이 생활관 입소에 앞서 발열 체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 머무는 중국인 유학생은 약 7만명이다. 이 가운데 현재까지 3만3000여명이 중국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에 들어온 유학생 가운데 상당수는 학교 주변 원룸·오피스텔 등에 머무르며 개강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 대학에 다니는 한국인 유학생은 현재 약 5만명으로 파악된다. 이들은 지난해 말 중국 내에서 코로나19가 퍼진 뒤 대부분이 귀국해 한국에 머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를 대비한 온라인 강좌 활성화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대학들을 상대로 중국에 머무는 유학생이 현지에서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강좌 개강을 요청하고 있다. 앞서 대규모 발병 사태를 맞은 중국은 이미 상당수 대학에서 온라인 중심의 커리큘럼이 마련됐다.

다만 유학생 사이에선 입국을 미룰 경우 학생 비자 발급 등에 불이익이 있을 것을 우려하는 반응도 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입국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불이익이 가지 않도록 최대한 협의하겠다"면서 "온라인 수업 등을 최대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계에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줄어든 중국 유학생 입국이 이번 조치로 한층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이번 양국 교육부의 협의가 상당수 중국인 유학생이 입국한 상황에 나와 '뒷북'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서울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유학생을 기숙사에 격리하고 있지만, 개별 대학이 관리하긴 어렵다"면서 "처음부터 정부가 일률적으로 입국을 제한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남궁민 기자
namg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