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부족” 중국 지원 논란에…“절반은 국제기구 통해” 방침 바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서울 외교부 청사.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에 약속했던 5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 중 절반은 직접 조달이 아닌 국제기구를 통하기로 했다.

최근 신종코로나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로 국내에서의 의료물품의 수급도 어려워지자 방침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28일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약속한 금액 중 반(250만 달러)은 국제기구를 통해 조달할 계획”이라며 “국제기구는 해외시장에서 조달하는 것이니 국내시장에는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기구를 통한 지원은 정부가 국제기구에 250만 달러를 현금으로 지원하면 국제기구가 자체 원조시장에서 물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어떤 물건을 조달할지는 국제기구가 중국 정부와 협의를 거쳐 결정된다.

국제기구는 유니세프가 유력한 상황이다. 이 당국자는 “지난주 후반부터 국제기구를 접촉해 알아봤고 마지막으로 선정하는 단계”라며 “유니세프가 이러한 인도적 지원 물품을 많이 갖고 있기도 하고, 코펜하겐 사무소를 통해 하겠다는 의사도 밝혀와 유니세프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30일 500만 달러 규모의 대중국 지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안면보호구 3만5000개, 라텍스장갑 23만 켤레, 분무형 소독기 3000대, 마스크·방호복·보호경 각 3만개 등이 지원될 계획이었고, 현재까지 안면보호구 약 5000개, 라텍스장갑 14만 켤레, 분무형 소독기 1470대, 마스크·방호복·보호경 각 3만개 등이 전달됐다.

관련기사

당국자는 전날에도 라텍스장갑이 중국에 지원된 것과 관련해 “이미 확정된 것을 집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500만 달러 지원은 정부 차원에서 약속하고 대내외적으로 공표한 것이니 이행해야 할 것”이라며 “국내 방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이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