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확산 중인 우한 폐렴, 블록체인으로 막을 수 있나

Join:D

입력

업데이트

[출처: 셔터스톡]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1월 30일 0시(중국시간)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의 누적 확진자가 7711명, 사망자는 170명이라고 발표했다. 전날보다 확진자 1737명, 사망자 38명 늘어났다. 우한 폐렴이 이처럼 빠른 속도로 중국 전역에 퍼지고 있는데다, 한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도 확진자가 계속 속출하면서 전 세계가 불안에 휩싸인 상태다.

이런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기존 전염병 경보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중국에서 제기됐다. 블록체인의 투명성과 추적성, 수정 불가 등 특징이 전염병의 확산을 막고, 사전에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

"현행 전염병 보고 체계, 문제 많다"

29일 중국 위챗 모멘트에 '우쓰얼'이라는 계정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국가급 전염병 관측 예보 네트워크를 개선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 작성. 

그에 따르면 중국은 2008년 4월 31개 성(省)급 도시에서 국가 전염병 자동 예보 시스템을 구축. 현재 39종 전염병에 관한 관측 데이터가 자동으로 분석되고 있음. 또 국가전염병정보관리시스템, 국가전염병네트워크보고시스템(NNDRS)을 잇달아 내놓으며 병원에서 전염병에 대한 보고를 실시간으로 즉각 보고하도록 규정함. 이를 위해 전자건강데이터(EHR), 전자병력(EMR) 등 의료 데이터를 표준화해 수집, 정리.

현재 중국에서 전염병이 발견됐을 때 중앙 당국으로 보고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음. 먼저, 전염병을 진단한 의료진이 병원정보관리시스템(HIS)에 관련 정보를 기입하면 병원에서 심사한 뒤 구(區) · 현(縣)급 정부의 질병통제센터(CDC)로 정보를 보냄. 여기서 다시 심사를 거친 뒤 성급이나 국가급 위생데이터교환플랫폼으로 전송. 이후에야 비로소 NNDRS에 전염병 데이터가 올라가. 총 4~5단계를 거쳐야 고 매 단계마다 심사가 있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어.

게다가 규정된 39개 전염병에 관해서만 이처럼 보고 시스템이 짜여져 있고, 이번에 발병한 우한 폐렴 같은 신종 전염병의 경우 당국에 보고되는 시간은 더 길어. 국가질량통제센터가 우한 폐렴에 대해 관측 기능을 추가한 것은 1월 24일로, 이미 전염병이 널리 확산되고 난 후였다는 게 우쓰얼의 지적.

문제는 또 있어. 현행 보고 시스템은 상급 정부에만 보고하는 수직적 체계. 타 병원과의 정보 교환이 부족해 치료, 확산 방지 등 효율이 한참 떨어져. 인근 병원의 정보를 파악하려면 국가 전염병 자동 예보 시스템을 통해야 가능.

"블록체인으로 보고 체계 바꿔야"

우쓰얼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말 많고 탈도 많은 현행 전염병 보고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 그는 블록체인으로 구 · 시(市) · 성 · 국가 4급 기관 간 진료내용, 확진자와 사망자 수 등 세세한 의료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을 제안. 각급 질병통제센터는 여기에 보조를 맞춰 전염병의 데이터 수집과 실시간 예보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 오로지 국가의 전염병 예보 시스템에만 의지해서는 안 된다는 것. 

또 기존에 있던 공공위생데이터 교환 플랫폼을 각급의 데이터 교환 노드로 삼아, 데이터를 실시간 자동으로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

단계별로 심사하느라 상부에 보고되기까지 오랜 시일이 걸렸던 것도 블록체인으로 해결 가능. 예전처럼 매 기관이 전염병 보고 내용을 심사한 뒤 상부에 올리는 게 아니라, 받은 즉시 자동으로 상부에 보고한 뒤 심사 결과나 기타 첨부할 내용을 차후에 보고서에 첨가하는 방식. 여기에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한 번 기입한 정보는 수정할 수 없고, 투명하게 추적이 가능해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아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책임을 묻기도 수월함.

마지막으로 우쓰얼은 중국이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를 경험한 뒤 17년 간 전염병 자동경보 및 방역 시스템을 크게 개선했다고 설명. 우한 폐렴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기술력은 충분히 갖췄다고 봐. 다만 정부가 기술을 수용하느냐가 관건. 그는 "현재의 기술 수준은 우한 폐렴에 대처하기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라며 "정부는 (블록체인 같은) 신기술로 방역체계를 무장해야 한다"고 강조.

권선아 기자 kwon.se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