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NSC "한중, 한일 정상회담 결실 위해 협력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청와대는 26일 오후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23~24일)을 계기로 한 한ㆍ중, 한ㆍ일 정상회의의 후속대책을 논의했다.

NSC는 이날 상임위원회를 마친 뒤 낸 보도자료에서 “이번에 합의된 사항들이 구체적인 결실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ㆍ일 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담을 마친 리커창 중국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쓰촨성 청두 세기성 국제회의센터에서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리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청와대사진기자단]

한·중·일 정상회담을 마친 리커창 중국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쓰촨성 청두 세기성 국제회의센터에서 공동언론발표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리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열린 제8차 한ㆍ중ㆍ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각각 정상회담을 했다. 이때 3국 정상들은 3국의 이해와 부합하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서는 대화가 유일한 해법임을 재확인하고, 이를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한ㆍ일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은 대화가 중요하다는데 뜻을 모으고 일본의 수출규제, 강제징용 배상 등의 갈등 이슈에 대해 대화로 실마리를 찾자는데 합의했다.

NSC는 또 “최근 한반도 안보 상황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주변국들과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북ㆍ미 대화가 조속히 재개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ㆍ중ㆍ일 정상은 북ㆍ미 대화가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데도 뜻을 모았다. 이와는 별개로 ‘성탄 선물’ 운운했던 북한이 별다른 도발 없이 지나간 것에 대한 배경과 향후 추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에 담길 내용에 대한 전망 등을 공유한 것으로 보인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