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테더는 왜 다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죠?

Join:D

입력

업데이트

아하

[출처: 셔터스톡]

[aha! 블록체인]Q>테더는 왜 자체 네트워크에서 코인을 발행하지 않는 건가요. 처음엔 옴니에서 출발해서 ERC20(이더리움) 기반 테더를 출시하더니, 이젠 TRC20(트론) 기반 테더까지 내놨네요. 이렇게 여러 네트워크에서 테더를 출시하는 이유가 뭔가요.

테더(USDT)는 자체 블록체인 상에서 코인으로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법정화폐인 달러를 담보로 하여 다른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의 형태로 발행되어 이용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테더는 테더 리미티드 사가 옴니 레이어, 이더리움, 트론, 이오스, 리퀴드 블록체인 상에서 USDT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된 ERC20 토큰으로서의 USDT입니다. 이것이 최근에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과부하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USDT가 블록체인 상에서 코인으로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블록체인 상의 토큰으로 발행하는 이유를 궁금해하셨습니다. USDT는 1달러의 가치를 가지는 토큰을 통해 거래를 용이하게 돕고 달러화에 해당하는 가치 저장 수단의 기능을 합니다. 이는 자체 블록체인이 없어도 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체 블록체인을 갖고 있다면 보안이나 USD 달러 교환 보증 책임을 고스란히 자신들이 져야 할 것인데, 그런 책임을 직접적으로 지지 않겠다는 의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로 USDT는 각각의 토큰을 발행한 플랫폼 자체가 해킹되지 않으면 안전하므로 보안에 대한 부담이나 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또 자체 블록체인을 만드는 것에 비해 비용과 시간도 절감할 수 있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성능이나 속도 면에서 기존의 블록체인보다 더 뛰어날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지금처럼 USDT를 발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블록체인 플랫폼 입장에서도 수수료 문제로 인해 USDT를 쉽게 받아들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플랫폼에서는 많은 트랜잭션이 발생돼야 그만큼의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많은 테더와 협력하여 발행하는 것입니다."

*이 글은 블록체인 지식 커머스 플랫폼 ‘아하(Aha)’ 블록체인 분야 Q&A 가운데 ‘erc20'님의 질문과 ‘호두알’님의 답변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원문 : https://www.a-ha.io/questions/49f10b1cc2ac55459e46e66bbc7745ce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