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발 국회 파행과 타다 논란, 문 대통령 어떻게 풀어갈까

중앙일보

입력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가운데)이 6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 관계자의 말을 들으며 얼굴을 손으로 감싸고 있다.   임현동 기자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가운데)이 6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 관계자의 말을 들으며 얼굴을 손으로 감싸고 있다. 임현동 기자

모친상을 치른 직후, 2박 3일간의 태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을 기다리고 있는 건 만만찮은 국내 현안들이다. 국회 운영위에서 빚어진 강기정 정무수석 발(發) 국회 파행이 현재 진행 중이다. 또 검찰 개혁에 대한 드라이브를 거는 중에 ‘타다’ 이슈도 불거졌다.

먼저, 정기국회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국회가 다시 멈춰섰다. 야권에서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설전을 벌인 강기정 수석을 경질하라고 주장하고, 더불어민주당이 “회의 개최를 강제하는 국회법 개정이 필요하다”라고 맞서면서 6일 예정됐던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는 취소됐다. 야당의 경질 주장에 대해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운영위 했던 당일에 여야 합의로 사과문을 낸 것으로 알고 있다. 청와대가 따로 입장을 낼 계획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논란을 일으킨 강 수석은 국회에서 “백 번 제가 잘못한 것이다. 할 수 있는 것을 다 하겠다. 금요일 소리친 것은 피감기관 증인 선서를 한 사람으로서 잘못한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 집무실로 복귀한 바로 그 날, 몸을 확 낮춘 것이다. 이에 대한 문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에 대해선 청와대 관계자는 “따로 드릴 말씀이 없다”고만 했다.

자유한국당뿐 아니라 바른미래당도 “강 수석을 즉각 해임하라. 정쟁 수석은 존재 자체가 해악”(오신환 원내대표)이라고 비난하는 상황이다. 청와대발 국회 파행이 길어질 수도 있고, 인적 쇄신 요구와 맞물려 상황이 복잡해질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우선 문 대통령의 모친상 때 빈소가 마련된 부산까지 조문온 야당 대표들을 향해 고마움을 표하는 자리를 모색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시정연설에서부터 대표나 원내대표와의 만남에 대해 말씀하신 게 있다. 다양한 방법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회가 멈춰서는 사이, 검찰발 이슈도 다시 불거졌다. 검찰이 차량 서비스 ‘타다’를 기소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와 검찰이 다른 말을 하고 있다. 검찰 일각에선 “타다 기소와 관련해 청와대 민정 라인과 상의했다”고 주장하고, 청와대는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다. 그러다 법무부와 청와대 정책실이 지난 7월 타다 관련 정책을 협의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진실게임 양상으로 번졌다.

그러잖아도 불편한 관계인 청와대와 검찰 간의 관계에 타다 이슈까지 돌출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8일 있을 ‘반부패정책협의회’에서 문 대통령은 이른바 ‘조국 국면’ 이후 처음으로 윤석열 검찰총장과 직접 대면한다. 이 자리에서 법조계의 전관예우 방지 대책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가운데, 문 대통령이 검찰을 향해 어떤 메시지를 낼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