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공기업 영업이익 12조 줄었지만…인건비 지출 1200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 등 7개 발전(發電) 공기업의 수익성은 크게 악화했지만 인건비 지출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탈원전 정책 전후 7개 발전 공기업 수익 변동.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탈원전 정책 전후 7개 발전 공기업 수익 변동.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 위원회 소속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전을 비롯한 7개 발전 공기업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2016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줄었다. 영업이익은 2016년 12조16억원 흑자에서 지난해 2080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2년 새 12조2096억원 감소한 수치다. 당기순이익의 경우 2016년 7조1483억원 흑자였지만 지난해 1조1745억원 적자 전환해 8조3223억원 감소했다.

이처럼 영업 실적이 악화했지만 채용 규모는 커지고 고연봉 직원도 늘었다. 지난해 7개 발전 기업은 총 4만6500여명의 직원을 채용했다. 2016년(4만4000명)보다 2500여명 늘어난 수치다. 연봉 1억원 이상 직원은 같은 기간 7075명에서 7130명으로 늘었다. 영업실적이 악화해 전기요금 인상 논란이 수차례 불거졌지만 해당 기업이 ‘제 식구 챙기기’에 많은 인건비를 지출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2016년 대비 2018년 인건비 지출 증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2016년 대비 2018년 인건비 지출 증감.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실제로 이들 7개 기업의 인건비 지출 규모는 지난해 3조6500억원으로 현 정부 출범 이전인 2016년에 비해 1228억원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윤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발전 공기업의) 대규모 적자 부담이 국민에게 전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공기업 손실은 결국 국민 세금으로 메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경영 효율화 작업에 즉시 돌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허정원 기자 heo.jeongw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