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아니라도 공복 혈당 높으면 췌장암 발병 위험 높아진다

중앙일보

입력

당뇨병 환자가 혈당 수치를 검사하는 모습 [중앙포토]

당뇨병 환자가 혈당 수치를 검사하는 모습 [중앙포토]

혈당이 정상 범위에 들더라도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 발병 위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구동회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2013 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2280만 명을 분석한 결과,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27일 밝혔다.

췌장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기관이다. 음식물로 섭취한 당을 소장에서 흡수하면 췌장에서는 다량의 인슐린을 혈액으로 분비해 혈당을 조절한다.

당뇨병과 췌장암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그동안 많았다. 하지만 당뇨병 환자가 아닌 정상(당뇨병 이전 단계)의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연구팀은 2280만 명의 건강검진 대상자를 ▶낮은 정상 (정상범위에서도 혈당이 낮은 사람ㆍ혈당 <90mg/dL)  ▶높은 정상 (정상범위에서도 혈당인 높은 사람ㆍ혈당 90-99mg/dL) ▶전 당뇨병 수준 (100-109mg/dl) ▶당뇨병 전 단계 (110-125mg/dl) ▶당뇨병 (≥126mg/dL)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중인 그룹으로 나눴다.

이어 이들을 5년간 추적 관찰해 췌장암 누적 발병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5년 누적 췌장암 발생률은 혈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낮은 정상은 10만명당 췌장암 발생률이 32명이다. 높은 정상은 41명, 당뇨병 전 단계는 50명, 전 당뇨병 수준은 64명, 당뇨병은 75명,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 중인 그룹은 121명이었다. 정상 범위의 혈당일지라도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의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박철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건강검진을 통한 고혈당의 조기 진단과 식생활 조절을 통한 혈당 조절이 췌장암 발생의 위험도를 낮출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혈당 조절이 췌장암의 발생을 낮출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구동회 교수는 “혈당조절과 췌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고지방식 음식을 피하고 운동을 통한 체중 관리가 필수적이다. 또한 췌장암 병력이나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내분비ㆍ대사학회지(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