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강철비'로 韓공군 초토화···김정은 '전쟁 시나리오' 드러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북한이 지난 5월 이후 우리 영토를 겨냥한 단거리 미사일과 다연장로켓(북한은 방사포로 부름) 등 발사체를 계속 동해에 쏘아 대고 있다. 북한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2월 27~28일 하노이에서 두 차례 북미 정상회담을 열었으나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헤어진 뒤 두 달 가까이 도발을 자제했다. 하지만 북한은 5월 4일부터 8월 2일까지 남한 전역을 노린 단거리 미사일과 대구경 방사포를 연속으로 발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지난 6월 30일 판문점에서 만나 세 번째 북미 정상회담을 하고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기로 확인했지만, 북한은 미사일 발사를 멈추지 않고 있다. 당시 판문점에선 문재인 대통령도 김 위원장을 만났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발사대(붉은 원)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사거리 200km대로 한국 공군과 미군 기지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발사대(붉은 원)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사거리 200km대로 한국 공군과 미군 기지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옛 소련 89년 개발 BM-30 스메르치회오리) #중국이 90년대 카피해 웨이스(호위무사) 생산 #북한, 이를 개량해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개발 #북한, “김정은 동지가 2012년 개발 직접 지시” #한국 공군과 미군 기지 노린 맞춤형 사거리 #로켓 1발에 강철구슬 500발로 강철비 뿌려 #공군력 열세인 북한의 ‘비대칭 비수’로 평가 #로켓탄에 러시아 GPS 정밀 유도시스템 갖춰 #중·러에서 치명적 공격무기 기술 유입 막아야

사거리 200㎞ 방사포 한국 공군기지 겨냥

특히 북한은 1일 조선중앙방송 보도를 통해 자신들이 지난 7월 31일 발사한 것이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고 확인까지 해줬다. 북한이 이를 확인한 이유는 무엇일까? 일부 정보 및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특히 사거리 200㎞ 정도의 신형 대구경 조종(유도) 방사포의 개발에 집념을 보이는 데 주목한다. 재래식 전쟁의 개전 초기에 휴전선에서 200㎞ 범위에 몰려 있는 한국 공군 기지들에 ‘강철 비’를 뿌려 초토화하는 전술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이 올해 쏘아 올린 발사체는 사거리 200㎞ 정도가 주종이다. 지난 5월 4일 고도 약 60㎞, 비거리 약 240㎞의 발사체 1발을, 5월 9일엔 고도 약 60㎞, 비거리 약 270㎞의 발사체를 각각 쏘았다. 7월 31일엔 원산 갈마 일원에서 고도 약 30㎞, 비거리 약 250㎞의 발사체를 2발 쏘았는데 한국 측이 그 실체를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동안 북한은 1일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김정은이 직접 발사를 지도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방송은 발사 장면을 공개하면서 이동식 발사대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그런 다음 2일 새벽엔 함남 영흥 일대에서 고도 약 25㎞, 비거리 약 220여㎞의 발사체를 쏘았는데 미사일인지 북한이 말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인지 아리송하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김 위원장이 시험사격을 참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김 위원장이 시험사격을 참관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2000년대 들어 대구경 방사포에 집착  

이런 판단을 위해선 북한이 이 정도 사거리를 가진 대구경 방사포 개발 이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북한이 개량에 나선 대구경 방사포는 러시아에서 처음 개발됐으나 중국에서 카피한 종류로 보인다. 러시아는 소련 시절인 1989년 BM-30 스메르치(회오리) 방사포를 개발해 실전 배치했으며, 중국은 1990년대 이를 바탕으로 웨이스(衛士·호위무사) 계열의 방사포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북한은 2015년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라며 공개했는데, 웨이스 시리즈 중 구경 302㎜의 WS-1B(사거리 180㎞)를 개량해 사거리를 200㎞까지 늘린 것으로 평가됐다. 당시 북한은 “김정은 동지가 2012년 개발을 직접 지시하시었다”라고 했다. 하지만 이는 미국 정보당국이 이미 2009년에 정찰을 통해 발견해 KN-09으로 부르는 것과 동일 기종으로 분석됐다. 김정은이 2012년 개발을 지시했다는 이야기는 ‘통일 대전’이라는 이름의 기습 남침 작전에 대한 김 위원장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든, 개발의 공을 김 위원장의 것으로 돌려 환심을 사려는 북한군 지휘부의 생각을 보여준 것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 평택시 오산기지에서 주한 미 공군의 F-16 전투기들이 출격을 대기하고 있다. 북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는 사거리가 200km 이상으로 이 기지는 물론 한국 공군기지 대부분을 공격할 수 있다. [연합뉴스]

경기도 평택시 오산기지에서 주한 미 공군의 F-16 전투기들이 출격을 대기하고 있다. 북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는 사거리가 200km 이상으로 이 기지는 물론 한국 공군기지 대부분을 공격할 수 있다. [연합뉴스]

북한 방사포, 한국 공군기지 노린 ‘비대칭 비수’

그렇다면 북한은 왜 이렇게 사거리 200㎞ 정도의 장거리 방사포 개발에 집착하는 것일까. 일부 정보 전문가들은 이를 수원·원주·강릉·청주·서산·충주에 있는 대한민국 공군 기지를 노린 ‘맞춤형 사거리 연장’으로 보고 있다. 휴전선에서 이 정도 거리에 한미 공군의 기지의 대부분이 몰려 있다. 북한이 남침했을 경우에 대비해 공군기지를 보호하면서도 즉각적으로 응전할 수 있도록 이 정도 거리에 기지와 비행장을 배치한 것이다. 북한은 200㎞ 사거리의 방사포를 개발해 미사일보다 적은 비용으로 공격하려고 혈안이 된 셈이다. 결국 대형 방사포는 공군력이 열세인 북한의 ‘비대칭 비수’로 볼 수 있다. 물론 한국 공군은 어지간한 공격으로는 파손되지 않는 특수 재료를 군 공항의 활주로에 깔아 놓고 있으며, 군용 항공기는 튼튼한 격납고에 보관 중이다. 공군의 방공포 사령부는 요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발사대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도 하에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시험사격'을 했다고 조선중앙TV가 1일 보도했다. 사진은 이날 중앙TV가 공개한 것으로 발사대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연합뉴스]

러시아 GPS 사용 공군기지 상공에 ‘강철 비’ 

북한은 김정일 시대에 만든 '생산도 학습도 생활도 항일 유격대식으로'라는 구호에 맞춰 상대를 기만하는 것을 전술로 간주하는 빨치산 국가다. 그럼에도 북한의 발사체가 그들이 발표한 대로 ‘조종(유도)’ 방사포가 확실하다면 발사할 로켓탄에 GPS 유도시스템을 갖춰 정확도를 높이려고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재래식 전쟁을 일으켜 초기에 기선을 제압하기 위해 공군기지를 노릴 MRL(다연장로켓)을 개발하고 있는 현장인 셈이다. 북한이 방사포로 부르는 다연장 로켓은 운동장 정도의 범위에 다량으로 발사해 작은 지역을 초토화하는 게 전술적 용도다. 하지만 북한은 이를 정밀 타격용으로 개량하고 있다. 

북한군은 이를 위해 러시아의 독자 위성항법장치(GPS)인 GLONASS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GLONASS는 2011년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하고 성능을 높이고 있는데. 2020년까지 정확도가 0.6m까지 향상될 것으로 예상한다. 결국 북한은 러시아 기술로 개발된 중국산 ‘호위무사’를 도입해 한국 공군기지 상공에 정확히 맞춰 ‘강철 비’를 뿌리려고 사거리 확대를 지속해서 추구해온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정보 당국은 유도 장비를 갖춘 북한의 ‘조종’ 방사포의 오차 범위가 현재 10m 내외인 것으로 보고 있지만, GPS 기술 진보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면 더욱 향상됐을 가능성도 있다.  

기갑부대 막으려 개발한 방사포를 북한이 전용  

옛 소련과 러시아가 장거리 방사포 개발에 나선 목적은 유럽 전선에서 대규모 기갑전이 벌어질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서였다. 로켓 1발에 강철구슬 500발을 넣은 집속탄으로 이른바 ‘강철비’를 뿌림으로써 기갑차량과 기갑 보병을 저지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하지만 북한은 전쟁을 일으킬 경우 한미 공군력을 대항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쟁 초기에 먼저 이를 무력화할 방안을 찾았을 것이다. 장거리 방사포의 핵심 용도를 기갑전 대비에서 공군 기지 파괴용으로 바꾼 셈이다. 결국 북한이 방사포 사거리 연장에 집착하는 이유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재래식 전쟁의 남침 작전계획에 맞춰 필요한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있는 셈이다. 방사포 사거리 연장은 북한이 아직도 재래식 전쟁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일 수 있다.

 북한이 대구경 방사포를 개발하면서 카피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방사포 WS-2. [사진 Military Today]

북한이 대구경 방사포를 개발하면서 카피한 것으로 보이는 중국의 방사포 WS-2. [사진 Military Today]

러·중 무기기술의 북한 유입 막아야  

더욱 문제는 북한이 러시아와 중국에서 치명적인 공격무기 기술을 지속해서 들여와 이를 개량해 대한민국 영토를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도록 개량하고 있다는 점이다. 북한에 무기체계와 물자가 유입되는 것뿐 아니라 기술이 유입되는 것도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등을 통해 철저하게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이나 일본의 부품이나 소재, 기술이 유입되지 않도록 통제를 강화하고 이를 철저하게 확인할 필요도 있다. 북한이 한국 상공을 정찰한 무인기의 카메라 등이 일본산이었음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무기 개발과 생산에 필요한 기술과 소재, 부품의 북한 유입을 막지 못하면 한반도 평화는 더욱 멀어진다.

지난 5월 6일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일 동해상에서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전술유도무기의 타격 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시스]

지난 5월 6일 북한 조선중앙TV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4일 동해상에서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 전술유도무기의 타격 훈련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시스]

북한, 5월 이후 한국 공격용 미사일만 발사  

북한이 지난 5월 이후 대한민국을 공격 대상으로 하는 단거리 미사일이나 대구경 방사포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쏘아 올린 기록을 한번 살펴보자. 북한은 지난 5월 4일 고도 약 60㎞, 비거리 약 240㎞의 발사체 1발을, 5월 9일에는 고도 약 60㎞, 비거리 약 420㎞와 270㎞의 발사체 2발을 각각 쏘았다. 하노이 회담 뒤 첫 미사일 발사이며 비거리를 보면 대한민국 영토를 노린 미사일이다.
북한은 7월 25일 고도 약 50㎞, 비거리 약 600㎞에 회피 기동을 하는 신형 단거리 미사일을 2발 발사했다. 탄도 미사일과 같은 포물선을 그렸지만, 최종 단계에서 재점화해 탄착점을 헛갈리게 하면서 오뚝이가 누운 형태의 비행 자취를 남겼다. 이는 러시아제 이스칸데-M 미사일의 비행 특성과 동일하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발사 사진의 미사일 외부 형태도 이스칸데르-Mrhk 흡사하다. 군은 이를 북한이 개발한 이스칸데르급 KN-23 단거리 미사일로 보고 있다. 이 미사일은 고도 약 20㎞ 이하에서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한국군의 패트리엇 미사일이나 고도 40㎞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주한미군의 종말고고도지역방어(THAAD·사드) 미사일의 사각지대에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유도 방사포는 미사일과 경계 애매모호

7월 31일에는 원산 갈마 일원에서 고도 약 30㎞, 비거리 약 250㎞의 발사체를 2발 쏘았다. 한국 측이 이 발사체의 실체를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동안 북한은 1일 ‘새로 개발한 대구경 조종 방사포’라며 김정은이 직접 발사를 지도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방송은 발사 장면을 공개하면서 이동식 발사대를 모자이크 처리했다. 그런 다음 2일 새벽엔 함남 영흥 일대에서 고도 약 25㎞, 비거리 약 220여㎞의 발사체를 쏘았는데 미사일인지 북한이 말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인지 아리송하다.
군과 정보당국이 미사일인지 방사포인지 헛갈리는 이유는 이 둘 사이의 구분이 갈수록 애매해지면서 경계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모두 로켓 추진력을 바탕으로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비행하는데 전통적으로는 유도장치가 달리면 미사일, 그렇지 않으면 방사포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 발달과 무기체계의 하이브리드화를 바탕으로 1990년대 이후 방사포에도 INS(관성항법장치)를 부착하거나 GPS를 이용할 수 있는 장비를 적용하고 있다. 미사일과 유도(북한은 조종으로 부름) 다연장 로켓인지 구분이 힘든 이유다. 사실상 그 구분이 별 의미가 없는 시대가 되고 있다.

지난 6월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29일 경기도 오산 미 공군기지를 통해 입국한 뒤 전욜 헬기인 마린원에 탑승하고 있다. 이 기지는 북한이 지난 1일 시험 발사했다고 밝힌 대구경 조종 방사포의 사거리 안에 있다. [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 6월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29일 경기도 오산 미 공군기지를 통해 입국한 뒤 전욜 헬기인 마린원에 탑승하고 있다. 이 기지는 북한이 지난 1일 시험 발사했다고 밝힌 대구경 조종 방사포의 사거리 안에 있다. [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트럼프, 한국 노린 단거리 미사일에는 무관심  

북한이 대한민국 영토를 공격할 수 있는 단거리 미사일과 대구경 방사포를 발사하고 있지만, 트럼프는 개의치 않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는 2일 트위터에 “김정은과 북한이 지난 며칠간 3차례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면서도 “이 미사일 시험 발사들은 미국과 북한이 서명한 싱가포르 합의 위반이 아니며 나와 김 위원장이 악수할 때 단거리 미사일에 대한 논의도 없었다”고 올렸다. 이어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일 수는 있지만 김 위원장은 믿음에 대한 위반에서 나를 실망시키기를 원치 않는다”라며 말했다. 발언을 살펴보면 물밑에서 진행 중인 북한과의 정상회담 협의를 위해 침묵한다는 의미가 읽힌다.

오산 미군기지, 성주 사드 기지도 노려  

트럼프는 지난 1일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도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해 “단거리 미사일일 뿐이며 우리는 이에 대해 어떠한 합의도 한 적이 없어 문제가 없다”라고 말했다고 AP통신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는 “우리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지만, 이들은 단거리 미사일로 대단히 일반적이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안일한 인식 속에서 북한은 단거리 미사일이나 대구경 방사포를 지속해서 발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영토와 국민의 안전을 노린 것이 분명한 무기체계의 시험 발사인데도 말이다. 게다가 북한은 8월 5일로 예정된 한미 연합 훈련과 한국 공군의 미국산 F-35 스텔스 전투기 도입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면서 발사체를 쏘아대고 있다. 북한이 단거리 발사체는 지난 6월 말 트럼프가 방한하면서 전용기인 공군 1호기가 착륙했던 경기도 평택의 오산 미군 기지와 경상북도 성주의 미군 사드 기지까지 노릴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동맹국인 대한민국의 국민과 영토를 위협하는 북한 단거리 발사체 공세를 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이는 미국에 대한 위협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채인택 국제전문기자 ciimcc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