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독도 영공 망언' 직후···日, 해상자위대에 무인헬기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0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0일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일본 해상자위대가 호위함 등에 탑재할 수 있는 대형 무인 헬기를 도입할 계획이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28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해상자위대 호위함 등에 탑재할 대형 무인 헬기 20기를 도입할 계획"이라며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일본이 실효지배중)와 동중국해·태평양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중국 해군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르면 2022년 기종을 고른 뒤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무인 헬기를 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경(輕)항공모함인 이즈모함이나 헬기탑재 호위함인 휴가형 호위함, 기뢰 대처 능력이 있는 신형 호위함에 무인 헬기를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무인 헬기는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미국의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 USS 몽고메리 격납고에 MQ-8C 무인헬기가 배치돼 있는 모습. [사진 미 해군]

미국의 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 USS 몽고메리 격납고에 MQ-8C 무인헬기가 배치돼 있는 모습. [사진 미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가 도입할 무인 헬기로는 미국의 헬리콥터형 무인기 'MQ-8C 파이어 스카우트'가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MQ-8C 파이어 스카우트는 미국의 방산업체 노스럽 그루먼이 만든 것으로 길이 12.6m, 폭 2.7m 크기다. 고도 5000m에서 함선 등의 움직임을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일본의 무인 헬기 도입 계획은 최근 러·중 군용기의 한국 영공 침범 사건 이후 또 다시 불거진 일본의 독도(일본명 다케시마) 영유권 주장 직후에 나온 것이다. 따라서 중국군의 해양 진출을 견제하기 위해서라는 표면적 이유 외에 독도를 둘러싼 동해 해상에서의 작전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이즈모(DDH-183). 일본 정부는 이 배에 스텔스 전투기인 F-35B를 운용할 수 있도록 개조할 계획이다. 또 논란을 의식해 '다용도 호위함'으로 부른다고 한다. [사진 일본 해상자위대]

일본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이즈모(DDH-183). 일본 정부는 이 배에 스텔스 전투기인 F-35B를 운용할 수 있도록 개조할 계획이다. 또 논란을 의식해 '다용도 호위함'으로 부른다고 한다. [사진 일본 해상자위대]

실제로 일본은 '전쟁 가능 국가'로의 전환을 서두르는 가운데, 지난해 8월 이즈모, 가가 등 호위함 4척을 항공모함으로 개조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특히 미국에 최신형 스텔스 전투기 F35 105대를 추가 주문하면서, 이 중 42대는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F35B로 주문했다. 수직 이착륙기는 활주로가 짧은 항공모함에 실리는 기종으로, 사실상 항공모함 기동에 대한 욕심을 드러낸 것이다.

양욱 국가안보포럼 수석연구위원은 "항공모함에 비행할 수 있는 무언가를 탑재함으로써 작전 반경을 동중국해와 동해를 비롯한 넓은 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전투기 같은 유인기의 비행이 빈번히 이뤄지는 동해 지역에서는 무인기의 억제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일본이 도입을 추진 중인 F35B가 일본 항공모함에 탑재될 때까지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