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거북선 횟집’ 찾은 문 대통령 “일본 보복, 외교로 해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문재인 대통령과 전국 17개 시·도지사들이 24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규제자유특구, 지역 주도 혁신성장의 중심’을 주제로 열린 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원희룡 제주지사, 이용섭 광주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문 대통령, 오거돈 부산·송철호 울산·권영진 대구 시장, 송하진 전북지사. 뒷줄 왼쪽부터 김희겸 경기행정1부지사, 김영록 전남·이철우 경북·김경수 경남 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최문순 강원·양승조 충남 지사, 이춘희 세종·허태정 대전 시장. 경기도는 이재명 지사의 공판 출석으로 김 부지사가 대신 참석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과 전국 17개 시·도지사들이 24일 부산 누리마루에서 ‘규제자유특구, 지역 주도 혁신성장의 중심’을 주제로 열린 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원희룡 제주지사, 이용섭 광주시장, 이시종 충북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문 대통령, 오거돈 부산·송철호 울산·권영진 대구 시장, 송하진 전북지사. 뒷줄 왼쪽부터 김희겸 경기행정1부지사, 김영록 전남·이철우 경북·김경수 경남 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최문순 강원·양승조 충남 지사, 이춘희 세종·허태정 대전 시장. 경기도는 이재명 지사의 공판 출석으로 김 부지사가 대신 참석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일본 수출규제 대응과 관련해 “당당하게 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열린 ‘규제자유특구’ 주제 시·도지사 간담회 뒤 오찬 자리에서 시·도지사들의 적극적 동참에 감사의 뜻을 나타내며 이같이 언급했다고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시·도지사와 간담회 뒤 오찬 참석 #“부산에서 유명한 집, 오해 없길 #12척 얘기 너무 비장히 받아들여” #PK 방문은 8개월 동안 아홉 번째

문 대통령은 “외교적으로 해결해야겠지만 이번이 우리에게 소중한 기회라는 생각도 든다”며 “국내에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히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협력에 안주하고 변화를 적극 추구하지 않았던 것 같다. 중소업체가 개발에 성공해도 수요처를 찾지 못해 기술 등이 사장되기도 했다”고 돌이켰다. 이어 “우리의 역량을 총동원한다면 지금의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기회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 정무수석이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오찬을 한 부산 거북선횟집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강기정 정무수석이 24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오찬을 한 부산 거북선횟집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렸다.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오찬 장소인 ‘거북선 횟집’ 사진을 올렸다. 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부산에서 유명한 집이다. 오해가 없길 바란다”며 “지난번 전남 가서 거북선 12척 얘기를 했더니 다들 너무 비장하게 받아들였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일본의 경제보복 문제는 당당하게 대응하고 특히 외교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그렇게 되리라고 본다”고 말했다고 한다.

지난해 12월 이후 이날까지 문 대통령이 부산·울산·경남(PK) 지역을 방문한 횟수는 아홉 차례였다. 같은 기간 호남(광주·전남·전북) 지역 방문은 세 차례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심 이반 징후가 뚜렷한 PK 지역을 끌어안으려는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간담회에선 지난 4월 발효된 지역특구법 개정안에 따라 출범한 규제자유특구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규제자유특구에선 규제 제약 없이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7개 특구에 총 58건의 규제특례를 적용하도록 했다. 강원(디지털 헬스케어), 대구(스마트 웰니스), 전남(e모빌리티), 충북(스마트 안전), 경북(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부산(블록체인), 세종(자율주행) 등이다. 문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성장이 우리의 목표”라며 “세계에서 가장 먼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제자유특구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규제를 해소하면서 신기술 실증과 사업화로 혁신성장을 지방의 성장으로 확산시킬 것”이라며 “기업의 본격적 혁신성장과 실질적인 규제혁신 성과를 체감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