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학교비정규직 파업 D-2…“급식·돌봄 어쩌나” 우려 커지는 학부모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금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열린 7월 총파업 관련 긴급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박금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위원장(왼쪽 세번째)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사무실에서 열린 7월 총파업 관련 긴급기자회견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초등학교 4학년 아들과 6살 딸을 둔 직장맘 김모(40·서울 송파구)씨는 지난 주말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3일부터 5일까지 학교비정규직 총파업이 예정돼 있어서다. 학교비정규직에는 급식조리원·돌봄전담사·교무행정사 등이 포함돼 있어 급식대란이나 돌봄공백 등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김씨는 “열악한 처우 개선을 위해 파업을 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돌봄공백이 발생하면 당장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난감하다”며 “왜 어른들 싸움에 애들이 희생양이 돼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털어놨다.

김씨뿐 아니라 학교비정규직 총파업을 앞두고 걱정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과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여성노동조합 등이 속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1일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5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여기에는 급식조리원·돌봄전담사·교무행정사 등 전국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포함돼 있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전 직종 기본급의 평균 6.24%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9급 공무원의 80% 수준까지 임금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당국은 예산 등의 문제로 이들의 요구를 들어주기 어려운 상황이다. 교육당국은 최근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과의 협상에서 기본급을 1.8% 올리고 이외 수당은 그대로 유지하거나 추후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노조는 “임금동결이고 사실상 감액안”이라고 반발했다.

교육계에서는 이전보다 학교비정규직 파업의 강도가 격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연대회의 조합원은 전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 14만2000여명의 66%를 차지한다. 이번 파업에는 5만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보다 조합원이 적었던 2017년 6월 총파업 때도 전국 1만2518개 국공립 초·중·고 가운데 1929곳의 급식이 중단됐다. 당시 학교에선 빵과 우유, 외부 도시락 등으로 급식을 대체하거나 학생들이 직접 개인 도시락을 싸오게 했다.

학교비정규직에는 급식조리원 등이 포함돼 있어 총파업에 돌입할 경우 급식대란 등이 우려된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 급식 조리실 모습. [연합뉴스]

학교비정규직에는 급식조리원 등이 포함돼 있어 총파업에 돌입할 경우 급식대란 등이 우려된다. 인천의 한 초등학교 급식 조리실 모습. [연합뉴스]

교육당국은 대책을 마련하느라 분주한 상황이다. 앞서 지난달 26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교육위 전체회의에 참석해 “파업 참가 여부와 비율에 따라 급식 식단 간소화를 검토하고 학생들이 도시락을 지참하게 하거나 빵·우유 등을 지급할 예정”이라며 “돌봄교실 등도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해 원활하게 운영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교육계에서는 학교비정규직 파업에 대한 의견이 엇갈린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연대성명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노동존중과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총파업으로 학생·학부모 피해가 가중되고, 학사일정 파행 등 학교의 비정상적인 운영이 반복된다”며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요청하는 건의서를 전달했다.

학부모 사이에서도 찬반 대립이 뚜렷하다. 초등학교 3학년 딸을 둔 이모(38·서울 영등포구)씨는 “노동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일 년에 한두 번 도시락 싸는 게 크게 불편하게 느껴지지 않는다”고 찬성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초6 아들을 둔 송모(45·서울 중랑구)씨는 “의무를 다하지 않고 권리만 주장하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