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라이프 트렌드] 교통·환경 정보 실시간 서비스…스마트시티로 다가간 제주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2017년부터 프로젝트 박차

‘2018 제주포럼’에서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주특별자치도]

‘2018 제주포럼’에서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주특별자치도]

연간 1500여만 명이 방문하는 세계적인 관광도시 제주도, 이제는 지능형 도시인 스마트시티로 도약을 준비 중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도시 곳곳의 교통·환경 등의 정보를 수집·공유해 거주민과 관광객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목표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2017년부터 스마트시티 추진 방향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이른바 ‘스마트 아일랜드(smart island·지능형 섬)’ 프로젝트다. 섬이라는 특수한 환경, 관광업 의존도가 높은 경제적인 특징 등을 고려해 교통과 환경 문제에 우선 집중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2017년 가장 먼저 주요 관광지와 유동인구가 많은 상업지구, 도내 모든 버스에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설치했다. 도민과 관광객이 와이파이를 사용하며 쌓인 방대한 데이터는 분석 플랫폼을 거쳐 공공 데이터로 제공되고 있다.

와이파이뿐 아니라 제주 지역의 모든 버스엔 고정밀 위치정보 단말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차량 상태 정보 모니터링 장비를 부착했다. 장비엔 버스의 운행 정보·상태 등이 기록되고 통합 데이터 플랫폼으로 전송돼 버스의 도착 시간을 계산한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대중교통 기반 제주 IoT 통합 플랫폼 서비스체계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버스에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송하는 시스템이다. 차간 거리, 차선 이탈, 전방 추돌 위험까지 감지한다. 무정차·난폭운전 등 운전 습관도 분석돼 승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제주도는 기대한다.

관광객의 불편도 해소해 준다. 예를 들어 국지적으로 일기 변화가 심한 제주도의 특성에 맞게 지역 날씨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습도·온도·미세먼지 등의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서비스를 구축 중이다. 이달 말까지 버스 정류소 등에 기상관측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위한 고정형 웨더스테이션 50개를 설치하고 향후 500~700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중교통 기반 이동형 IoT 기상정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도민과 관광객이 참여하는 블록체인 기반 클라우드 기상정보 서비스 모델도 마련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정보화진흥원과 협력

하지만 제주도가 스마트시티로 거듭나려면 투자가 필요하다. 김기홍 제주특별자치도 디지털융합과장은 “스마트시티는 관이 주도하는 U시티와 다르게 공공 기반시설을 민간이 활용하는 민관 협력 모델이 핵심”이라며 “기술 역량과 비즈니스 모델 면에서 제주가 그동안 많은 성과를 거뒀으며 중국·동남아 국가들이 빅데이터 모델에 관심을 나타내는 만큼 민관 협력의 선순환 구조를 이루면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주도는 오는 29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14회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을 연다. 30일에는 ‘신산업 투자유치: 스마트 아일랜드’ 세션을 운영할 계획이다. 국내외 기업과 투자자들에게 제주 스마트 아일랜드의 비전을 소개하는 자리다.

김인환 서울대 아시아에너지환경지속가능발전연구소 연구원, 유인상 LG CNS 미래전략사업부 스마트시티사업담당, 차비에르 빌랄타 카탈루냐 무역투자청 기업경쟁력제고부 스마트전략실장, 노희섭 제주도 미래전략국장, 이영성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윤용진 KAIST 기계공학과 부교수 등 국내외 스마트시티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투자자들이 투자 유치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양기철 제주특별자치도 관광국장은 “데이터를 가진 자가 미래를 차지한다는 말이 있다”며 “제주도를 스마트 아일랜드로 발전시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투자처를 지속적으로 발굴·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윤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