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드 '맞는' 사람보다 '맞춘' 사람 발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3일 경제 교육부총리 인사 이후 국무위원 20명중 참여정부에서 참모로 근무한 인사는 무려 8명에 이른다. 특히 경제, 교육, 과학기술 등 부총리를 겸임하는 세자리 모두 청와대 참모 출신으로 채워졌다. 청와대 출신 장관의 비중이 수치상 40%지만 영향력 측면에서 그 이상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권오규 경제부총리,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자는 각각 정책실장 출신이고 김우식 과기부총리는 비서실장을 지냈다. 노무현 대통령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했던 이들이 정부의 핵심 포스트를 장악했다는 얘기다.

이외에 이종석 통일부장관(NSC 사무처장),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외교보좌관), 윤광웅 국방부장관(국방보좌관), 이용섭 행정자치부장관(혁신수석), 김성진 해양수산부장관(산업정책비서관) 등도 청와대에서 내각으로 자리를 옮겼다.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정부 정책 조정과 조율을 책임지는 김영주 국무조정실장(경제정책수석)도 노 대통령을 오래 보좌했다.

한명숙 총리를 비롯 천정배 법무부장관,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 등 열린우리당 전.현직 의원 등 여당 출신 국무위원도 7명이나 된다. 국무위원의 75%가 청와대 및 여당 출신이라는 얘기다. 정통 관료 출신은 장병완 기획예산처장관, 노준형 정보통신부장관 정도다.

청와대 출신이 많지만 그렇다고 과거부터 노 대통령을 보좌해왔던 인물들은 아니다. 대부분이 정통 관료나 교수 출신이면서 현 정부 출범후 노 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능력을 갖춘 정통 관료들이 청와대에서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뒷받침하면서 인정받는 케이스"라고 설명했다.

역으로는 노 대통령이 원래 코드가 '맞는' 사람보다 코드를 '맞춘' 사람을 택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실제 김병준 교육부총리과 정치권 출신을 제외하고는 대선전 노 대통령과 인연을 가진 인물이 거의 없다.

능력있는 관료들을 청와대에서 한번 '세탁'(?)해 일선에 재배치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노 대통령이나 참여정부의 '인재풀'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맥을 같이 한다.

이와함께 청와대에서 근무한 이들에 대한 노 대통령의 배려도 청와대 출신 장관이 많아지는 이유로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이 좋은 곳으로 가는 것을 보여줘야 각 부처에서 가장 능력있는 사람들이 오지 않겠냐는 게 노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