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폴크스바겐 제치고 R&D 투자 세계 1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전자가 2017년 연구ㆍ개발(R&D) 투자 규모에서 독일 자동차 회사 폴크스바겐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세계 상위 1000대 기업에 들어간 한국 기업은 25개로 세계 6위를 기록했다.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11일 유럽연합(EU)집행위원회가 발표하는 ‘유럽연합 산업 연구개발 스코어보드’를 분석해 이런 내용의 ‘글로벌 1000대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분석 스코어보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체 매출액의 7.2%인 134억유로(약 17조원)를 투자해 2016년 4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2013~2015년에 폴크스바겐에 이어 매년 세계 2위였고 2016년에는 폴크스바겐ㆍ알파벳ㆍ마이크로소프트에 이어 4위였으나 2017년에 1위 자리에 오른 것이다. 삼성전자에 이어 알파벳(133억8800만 유로), 폴크스바겐(131억3500만 유로), 마이크로소프트(122억7900만 유로), 화웨이(113억3400만 유로), 인텔(109억2100만 유로), 애플(96억5700만 유로)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 기업 중에는 LG전자가 2017년 26억 유로를 R&D에 투자해 53위를 기록했다. 전년(50위)보다 3계단 떨어졌다. R&D 투자액은 매출액 대비 5.5% 수준이다. 현대차는 18억 유로, 기아차는 12억 유로를 투자하며 각각 73위와 118위를 차지했다. LG화학은 7억 유로로 198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5개 기업이 총 267억 유로를 R&D에 투자했다. 국가별로 비교하면 6위로 전년(7위)보다 한 계단 상승했다. 세계 1위는 미국이다. 319개 기업이 총 2520억 유로를 투자했다. 1000대 기업 전체의 37.9%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어 일본(153개)·중국(120개)·독일(69개) 순이었다. 중국 기업은 전년보다 20개나 늘었다.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자료: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김현철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정책기획팀장은 “중국 내 주요 기업들이 인공지능·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 선점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