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개교 7만여명 급식 중단 대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교육당국과 보건당국은 22일 서울에서 경복여고, 숭의여중.고 등 14개교(938명), 인천에서 가좌여중 등 7개교(500명), 경기도 용인의 홍천고(57명) 등에서 구토와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집단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조사 결과 CJ푸드시스템이 급식을 하는 학교 88개교 중 22개교에서 급식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교육당국은 이에 따라 이 업체의 인천, 수원 물류센터에서 식자재를 공급하는 68개교에 대해 급식중단 조치를 취했다. 40곳이 넘는 학교에 급식중단 조치를 한 것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서울의 경우 식중독 증세는 16일 서울 염광여자정보고 등 3개 학교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20일부터 본격적으로 확산됐다. 특히 21일엔 서울 지역 6개 학교에서 사고 환자가 발생했다. 그러나 교육당국이 22일에야 급식을 중단시켰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당국과 업체가 늑장 대응을 하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J푸드시스템 측은 "16일 사고가 발생한 학교에서는 학생 25명이 복통을 일으켰으나 음식에 문제는 없었고, 사고 학생 중 한 명은 급성맹장염 증세를 보였다"며 "사고가 나자 곧장 협력업체의 납품을 중단했다"고 해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질병관리본부는 인천 계양과 경기도 수원에 있는 CJ물류센터의 식자재를 수거해 위생점검과 식중독 원인 식품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식의약청은 식중독으로 판명되면 CJ푸드시스템에 영업허가 취소 등 엄정한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정부는 23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한명숙 총리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어 급식 사고와 관련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논의한다.

한 총리는 사고발생 경위와 현황을 보고받은 뒤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특별 지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는 김진표 교육부총리와 유시민 보건복지, 김성진 해양수산, 박홍수 농림부 장관과 문창진 식의약청장 등이 참석한다.

강홍준.이원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