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바른 의인상' 1호 수상자 돼

중앙일보

입력

 제1회 ‘바른 의인상’ 수상자인 김복동 할머니(왼쪽)를 방문한 공익사단법인 '정'의 김재홍 이사장(서울디지털대학교 총장)이 수상을 통보하며 할머니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사진 법무법인 바른]

제1회 ‘바른 의인상’ 수상자인 김복동 할머니(왼쪽)를 방문한 공익사단법인 '정'의 김재홍 이사장(서울디지털대학교 총장)이 수상을 통보하며 할머니 손을 잡고 위로하고 있다. [사진 법무법인 바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93) 할머니가 공익사단법인 '정'에서 선정하는 ‘2018 바른 의인상’을 수상하게 됐다. 공익사단법인 정은 법무법인 바른의 변호사와 임직원들이 공익활동을 위해 만든 법인으로 바른 의인상 수상자를 올해 첫 선정했다.

공익사단법인 정은 26일 “김 할머니가 일본군 피해자로서 아픔을 안고 있으면서도 거의 전 재산을 후진교육을 위해 기부했으며 평화와 통일의 신념과 한일 과거사에 대한 바른 역사관을 전파시켰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암 투병 중에도 재일조선학교 등에 꾸준히 기부

김 할머니는 현재 암 투병 중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기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만 해도 두 차례에 걸쳐 사재 5000만원을 재일조선학교에 장학금으로 기부했다. 2014년에는 씨앗기금 5000만원을 출연해 장학재단 ‘김복동의 희망’을 만들었다. 이후 지난 9월에는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재일조선학교를 복구하라며 1000만원을 추가로 기부하고, 직접 오사카 조선학교를 방문하기도 했다. 김 할머니는 “내 전 재산을 탈탈 털어 후원할테니 우리 조선학교 학생들이 열심히 공부해서 이 나라가 통일되고 평화의 길이 탁 열릴 때까지 훌륭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란다”고 격려했다.

김 할머니는 2012년 3월 8일에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에서 함께 지내는 길원옥 할머니와 함께 ‘나비기금’을 발족시키기도 했다. 나비기금은 ‘세계의 전쟁 중 성폭력 피해자들’을 중심으로 각종 폭력에 고통받는 여성들을 위해 쓰인다. 김 할머니는 “죽기 전에 일본 아베 총리의 진심 어린 사죄 사과를 받고 싶다”고 밝혔다.

바른 의인상 심사위원장을 맡은 김재홍 공익사단법인 정 이사장은 “김복동 할머니의 살신성인 정신과 신념 어린 활동에 이제 우리 사회 공동체가 응답해야 한다”며 “제1회 바른 의인상은 그 작은 응답이지만 큰 사회적 메아리로 이어지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내달 2일 오후 4시 서울 연남동 ‘평화의 우리집’에서 열릴 예정이다.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6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권유진 기자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36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권유진 기자

日대사관 앞에서 마지막 수요집회 열려 

한편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는 제1367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가 열렸다. 올해 마지막 집회다. 이 자리는 올해 세상을 떠난 8명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기리는 자리로 꾸며졌다. 지난 14일 이귀녀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면서 현재 정부에 등록된 생존 위안부 피해자는 25명만 남았다.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기 수요집회 참석자들이 고인이 된 위안부 할머니들의 사진 앞에 꽃을 놓아뒀다. 권유진 기자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정기 수요집회 참석자들이 고인이 된 위안부 할머니들의 사진 앞에 꽃을 놓아뒀다. 권유진 기자

현장 한쪽에는 세상을 떠난 8명의 할머니들이 생전 환하게 웃고 있는 사진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사진 앞에 준비한 꽃을 놓으며 할머니들을 추모했다. 돌아가신 8명의 할머니들의 생전 발자취가 소개되자 흘러내리는 눈물을 닦아내는 참석자들도 있었다.

영하의 날씨에도 준비된 자리를 빼곡히 메운 참석자들은 “일본 정부는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들에게 법적 배상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정의기억연대는 이날 성명에서 “전쟁에 끌려가 모진 고초를 겪었던 피해자들은 전쟁이 끝나고도 반세기 동안 침묵을 강요당하다가 우리 사회의 두꺼운 편견과 차별의 벽을 부수고 나와 용기 있게 피해 사실을 증언했다”며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지는 자세로 전쟁범죄를 인정하고 공식사죄와 배상을 통한 법적 책임을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