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킨·커피 가격 줄줄이 인상… 연말 추위만큼 ‘혹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크리스마스와 각종 송년 행사가 몰린 연말을 맞아 치킨과 커피를 필두로 과자와 햄버거에 이르기까지 식품·외식 물가가 고삐 풀린 듯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크리스마스와 각종 송년 행사가 몰린 연말을 맞아 치킨과 커피를 필두로 과자와 햄버거에 이르기까지 식품·외식 물가가 고삐 풀린 듯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크리스마스 등 외식 소비가 늘어나는 연말 성수기를 맞아 치킨과 커피를 필두로 식품·외식 물가가 치솟고 있다.

식품기업 및 프랜차이즈업체는 ‘최저임금 상승 등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임대료 상승’, ‘원재료값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어 가격인상을 단행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가격 상승이 원재료 가격 상승 폭보다 더 큰 폭으로 인상되고 있을뿐더러 결국 각종 비용부담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가격 인상 도미노'의 첫 신호탄은 우유업계가 쐈다.

업계 1위인 서울우유는 올해 8월 2013년 이후 5년 만에 흰 우유 1L 제품의 가격을 3.6% 올렸다. 이어 남양우유가 10월 우유 제품 가격을 4.5% 인상했고, 1L 제품의 용량은 900ml로 줄여 사실상 10%나 가격을 올리는 효과를 냈다. 빙그레는 대표 제품 '바나나맛우유' 가격을 내년부터 소비자가 기준 100원 인상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우유는 커피전문점에서 원두에 이은 주요 원료로 쓰이는데다가, 제과제빵 업계에서도 주로 사용하는 재료기 때문에 식품업계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

한국인의 ‘소울푸드’인 치킨도 이제 가장 기본 제품인 프라이드마저 1마리에 2만원을 지불해야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대형 치킨 프랜차이즈 BBQ는 지난달 19일 대표 제품 '황금올리브'를 비롯해 '써프라이드'와 '자메이카 통다리 구이'를 각각 1000∼2000원 올렸다.

올해 들어 불어 닥친 치킨업계 '배달비' 열풍으로 상당수 지점에서 2000원 안팎의 배달비를 받는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가 '황금올리브'를 주문하려면 최소 2만원을 내야 한다.

한 축산업계 관계자는 "연말 시즌은 복날과 가정의 달에 이은 '3대 성수기'"라며 "치킨 가격을 올리면 양계 농가는 가격 인상 여파로 소비가 줄어들까 오히려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제과와 해태제과, 농심 등 식품기업들의 경우 과자 가격을 인상했다. 농심은 대표 제품 '새우깡'을 비롯해 19개 제품의 출고 가격을 지난달 6.3% 올렸다. 출고 가격 기준으로 '새우깡', '양파링', '꿀꽈배기', '자갈치' 등은 6.1%, '프레첼'은 7.4% 인상했다.

앞서 크라운해태는 5월 오예스 등 13개 제품 가격을 두 차례에 걸쳐 올렸고, 롯데제과는 4월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이달 대형 커피전문점도 가격 인상 대열에 동참했다. 이디야커피는 이달 1일부터 70개 음료 가운데 14개 품목의 가격을 인상했고, 엔제리너스는 아메리카노 스몰 사이즈를 4100원에서 4300원으로 올리는 등 17개 품목을 평균 2.7% 인상했다.

매장 수로 업계 1위인 롯데리아 역시 올해 8월 소프트콘 가격을 40% 올린 데 이어 13일부터 버거류 11개 제품 가격을 평균 2.2% 올리겠다고 밝혔다. 파파이스 또한 올해 하반기 들어 버거 7종류의 단품과 세트 메뉴 가격을 200원에서 400원까지 올렸다. 인상률은 최대 10%에 달한다.

CJ제일제당은 올해 3월 즉석밥(햇반)과 캔햄(스팸), 냉동만두(비비고왕교자), 어묵(삼호어묵) 등 4개 품목 54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6~9% 인상했다. 동원F&B는 6월 캔햄(리챔), 냉동만두(개성왕만두) 등의 가격을 평균 7% 올렸고 오뚜기도 같은 달 순후추, 사과식초, 사리당면 등의 가격을 최고 47% 올렸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가 지난 9월 서울 지역 남녀 4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70%에 가까운 대상자들이 최근 물가가 '인상됐다' 또는 '매우 인상됐다'고 응답했다.

외식 가격이 지금처럼 지속적으로 인상된다면, 앞으로 외식 소비에 어떤 변화를 줄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57%의 소비자들이 외식 빈도(횟수)를 줄이겠다고 응답해 가격 인상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됐다.

권혜림 기자 kwon.hyer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