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시선2035

Are you happy?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김경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돈도 없고 ‘빽’도 없는데 공부라도 잘해야지, 아니면 어떻게 먹고 살래?”

살다 보면 주워 담고 싶은 말이 있다. 내게는 이 말이 그렇다. 아래로 여섯살, 아홉살 터울인 두 동생들에게 ‘이게 다 너희 잘되라고 그런 거야’라며 했던 독한 말들. 그때 당시엔 공부가 유일한 비상구라고 생각했다. 요즘 언론을 장식하는 수능 만점자 수준의 노력이나 능력이 뒤따랐던 건 아니지만 그저 내 나름대로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해 유년기를 보냈다. 이게 정답이라고 믿었고, 동생들도 그 길을 걸어줬으면 하는 욕심에 매일 숙제 검사를 하는 등 부단히 채찍질을 했다.

하지만 남동생은 결국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 여동생은 성적에 맞춰 대학에 갔지만 전공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 동생들을 위한다고 한 내 행동들이 결국 이런 결과를 초래한 것 아닐까, 자책감이 한동안 지속됐다.

2018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학 진학률은 68.9%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여전히 최상위 수준이다. 모두가 학업에 뚜렷한 뜻이 있어서 가는 게 아니라는 건 암묵적인 진실이다. 높은 대학진학률은 단순한 교육열뿐 아니라 고졸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반영하는 사회적 지표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장은 따고 봐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기가 나는 참 어려웠다.

최근 들어 생각이 바뀐 이유는 동생들의 변화 때문이다. 하고 싶은 게 없다던 남동생은 사회생활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가게를 차리고 싶다는 꿈을 키우게 됐다. 여동생은 대학 분교에서 배울 수 있는 전공에 흥미가 생겼다며 지방으로의 유학을 택했다. 주위의 시선과 관계없이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가는 동생들이 이제는 대견해 보인다.

몇 달 전 스페인 바르셀로나 근교의 한 와이너리에서 마당을 쓸고 있던 한 할아버지가 내게 이렇게 물었다. “Are you happy(행복하니)?” 와인 시음을 마치고 한껏 들떠 있던 나는 큰 소리로 ‘예스’를 외쳤다. 그러자 그는 “That‘s important(그게 중요한 거야)”라며 찡긋 웃었다.

이 짧은 대화에서 얻은 깨달음이 하나 있다. 누군가의 인생을 평가할 수 있다면 그 유일한 기준은 그 사람의 행복이어야 한다는 것. 동생들에게 대학 진학을 강요하기 전에 대학을 안 가도 수능을 망쳐도 우리 모두는 행복할 자격이 있다고, 그런 세상을 만드는 게 어른들의 역할인데 그걸 잘 못 하고 있다고 말해줬어야 했다. 그리고 더 자주 이렇게 물어봤어야 했다. “너는 어떨 때 행복하니?”

김경희 정치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