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수 전 기무사령관 극단적 선택에 검찰 당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재수 전 국군기무사령부 사령관 투신사망에 검찰이 당혹해 하고 있다. 검찰은 강압수사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조사받던 피의자가 극단적 선택을 했기 때문에 안팎에서 책임론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세월호 유가족에 대한 불법 사찰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재수 전 기무사령관이 지난달 27일 오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 유가족에 대한 불법 사찰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재수 전 기무사령관이 지난달 27일 오전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 관계자는 7일 이 전 사령관 투신사망과 관련 “경찰대 병원에 시신이 안치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군인으로서 오랜 세월 헌신해온 분의 불행한 일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구속영장 기각 이후에 이 전 사령관 측을 접촉한 게 전혀 없다”며 “불러서 조사하거나 소환 일정 조율한 것이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성훈)는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지방선거와 재보궐선거 등 각종 선거일정을 앞두고 박근혜 당시 대통령과 여당인 새누리당의 지지율 관리를 위해 세월호 유가족의 정치성향과 개인적으로 수집ㆍ사찰한 혐의로 이 전 사령관을 수사해왔다.
검찰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로 이 전 사령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지난 3일 법원에서 기각됐다.

검찰은 영장이 기각된 이후 보강수사를 진행해왔다.

한편 이 전 사령관은 이날 투신 직전까지 지인과의 통화해서 자신에 대한 영장 재청구 가능성 등을 물어본 것으로 전해졌다.

김기정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