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빠진 삼성전자, 살까 말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대장주' 삼성전자는 언제 부활할 것인가. 최근 삼성전자 주가는 7개월 만에 50만원대로 떨어지면서 올초 100조원이던 시가총액도 84조원대로 주저앉았다. 일각에선 '하반기 이후 반등'을 점치기도 하지만 의외로 침체의 골이 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와 2분기 실적 부진, 두가지 숙제가 너무 버겁다는 것이다.

◆바닥은 어딜까=삼성전자는 7일 60만원선이 깨지더니 8일에는 57만5000원까지 밀렸다. 외국인 매물이 740억원 가량 쏟아지면서 4.01%가 떨어졌다. 코스피 지수(-3.44%)보다 낙 폭이 컸다. 8일 하루에만 시가총액 3조원이 사라졌다. 올 1월31일 최고가(74만원)보다 주가는 20% 넘게 빠졌다. 일각에선 "55만원 대까지 하락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동양종금증권 이문한 연구위원은 "주력 제품인 LCD와 플래시메모리 가격이 올들어 계속 하락한게 실적 부진과 주가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며 "외국인들이 자사주 매입 기간 중 주식을 적극적으로 파는 바람에 낙폭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D램 가격 담합 의혹으로 미국에서 집단소송에 휘말릴 가능성이 커진 것도 주가 약세 요인이다.

◆언제쯤 반등할까=삼성전자는 국내 증시에서 단순한 '1등주' 이상이다. 지난해 초 지수 1000시대의 시작도 이 회사가 기록한 10조 순익이란 '깜짝 실적'덕에 가능했다. 이른바 '삼성전자 효과'다. 그러나 올해엔 이런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대부분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1분기에 이어 2분기 실적 역시 기대치를 밑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굿모닝신한증권 송명섭 연구위원은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당초 예상치인 1조4000억원에 못미치는 1조3000여 억원 수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했다.

증권사 담당 애널리스트들은 3분기엔 휴대폰과 낸드플래시 메모리 부문이 살아나 영업이익이 1조8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때쯤이면 주가도 긍정적인 흐름을 탈 것이란 것이다. CLSA증권은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이 최근 3년 새 가장 낮게 떨어졌다"며 "자사주 매입이 끝나면 시각이 긍정적으로 바뀔 것"이라고 밝혔다.

표재용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