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훈범의 문명기행

가야 제국과 고대 그리스의 공통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이훈범
이훈범 기자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이훈범 논설위원

이훈범 논설위원

북한산에서 패권의 흐름을, 임진강에서 정복의 본질을 생각했던 발걸음은 이제 남쪽 땅을 향한다. 패권 추구와 정복 전쟁을 가능하고 더욱 용이하게 만들어주는 쇳덩이 문명을 찾아서다. ‘철의 왕국’으로 불리는 가야 문명이다.

주변국가에 수출했던 철의 왕국 #고만고만한 소국들이 서로 견제 #시대 흐름인 중앙집권에 실패해 #앞선 문화 불구, 역사에서 퇴장

쇠는 인류에게 축복이자 재앙이었다. 척박한 황무지를 비옥한 농경지로 바꾸는 획기적인 농기구가 됐지만, 그 비옥한 땅을 차지하고자 싸우는 살상 무기로서도 어마어마한 효율성을 발휘한 것이다. 쇠 중에서도 ‘철’은 인류 문명에서 한 획을 긋는 일대 전환점이 된다. 철을 발견하기 거의 5000년 전부터 인류는 청동에 대해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청동의 희소성 탓에 극소수의 지배자들에 의해 극히 제한적인 용도로밖에 사용될 수 없었다.

철은 달랐다. 매장량이 풍부한 데다 지역 편재성도 훨씬 적어 제조법만 알면 어느 곳에서나 쉽게 만들 수 있었다. 철과 함께 쇳덩이의 대중화가 비로소 이뤄진 것이다. 철기의 수평적 접근의 용이성은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도 크게 증가시켰다. 인류가 돌을 깎아 석기를 만든 이후 철광석을 녹여 철기를 만들기까지 거의 300만 년이 걸렸지만, 철기에서 수소폭탄에 이르기까지는 불과 3000년이 걸렸을 뿐이다. 여러 소재를 섞은 합금과 세라믹 같은 신소재 역시 철의 발견이 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철이 없었다면 아마도 등장이 불가능했을, 최소한 한참 뒤처졌을 합금으로 만든 비행기에 몸을 싣고 김해공항에 내렸다. 가야 제국(諸國)의 발자취가 서린 지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오늘날 조상들의 잊힌 영화 되찾기에 열심이다. 지자체마다 유적지를 재정비하고 박물관을 만들어 발굴된 유물들을 자랑하고 있다. 자기들의 가장 특징적 유물을 상징물로 내세우기도 한다. 후기 가야연맹을 이끌었던 고령은 삼각형 구멍의 원통형 그릇받침을, 안라국의 고장 함안은 불꽃 무늬 토기를, 그리고 다라국의 합천은 봉황문 고리의 칼자루를 크게 만들어 박물관 입구를 장식하고 있다. 전기 가야연맹의 맹주였던 김해는 공항에서 김해 시내로 들어가는 경전철 선로에 대형 금관을 만들어 전철이 통과하게 했다. 승객 여러분, 금관가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그런데 금관가야는 원래의 이름이 아니다. ‘가야’라는 이름 자체가 신라 말 고려 초에 만들어진 것이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중국의 『삼국지』, 일본의 『일본서기』 등 문헌과 광개토대왕비 기록에서 금관가야는 구야국·가야국·가락국·임나국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중에서 대표적인 게 가락국이다. 그러니 금관가야라는 호칭보다는 가락국으로 부르는 게 옳아 보인다.

가락국은 가야 사회에서도 철 생산의 중심지였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변진조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김해 분산성에서 바라본 김해 시가지 전경. 가야의 잊힌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라는 듯 잔뜩 찌푸린 구름 사이로 서광이 비추고 있다. [이훈범 기자]

김해 분산성에서 바라본 김해 시가지 전경. 가야의 잊힌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라는 듯 잔뜩 찌푸린 구름 사이로 서광이 비추고 있다. [이훈범 기자]

“(변한의) 나라에서는 철이 생산되는데 이웃한 한·예·왜에서 모두 와서 사간다. 시장에서의 모든 매매는 철로 이루어져 마치 중국에서 돈을 쓰는 것과 같다. 또 (낙랑과 대방) 두 군에도 공급했다.”

한은 마한과 진한, 예는 동예, 왜는 일본을 가리킨다. 김해가 가야 사회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철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가락국에서 철을 생산한 사실은 고고학적으로도 증명되고 있다. 김해의 봉황대 유적지에서는 토기로 만든 제철용 송풍구 조각과 제철 과정에서 생기는 찌꺼기인 슬래그(slag)가 출토됐다. 이 지역에서는 1950년대까지 철이 생산됐으며, 조선시대에도 철의 주요 공납처였다. 김해의 읍면동 중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한 상동면은 옛 이름 ‘감물야촌(甘勿也村)’과 함께 철 산지로 『세종실록』 지리지에 소개돼있다.

철이 많이 나온 만큼 다양한 철 제품도 만들어졌다.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는 철제 투구와 철갑옷, 삼지창, 고리자루큰칼은 물론 말머리가리개와 말갑옷 등이 출토됐다. 특히 29호분의 경우 판상철부(납작쇠도끼) 100여 점을 바닥에 깔고 그 위에 시신을 안치하기도 했다. 『삼국지』의 설명대로 판상철부가 화폐로도 이용된 점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무덤 주인은 ‘돈침대’ 위에서 영면한 셈이다. 가락국의 실력자가 분명했을 망자는 죽어서도 호사를 누린 것이다.

이처럼 풍부한 철광석과 뛰어난 제련기술에 힘입어 가야는 신라와 맞먹는 국력으로 발전했으며, 때로는 신라를 능가하는 힘을 과시하기도 했다. 기원전 1세기부터 시작된 가야의 역사는 3~4세기에는 김해 가락국이 이끄는 전기 가야연맹으로, 5~6세기에는 고령 대가야국 중심의 후기 가야연맹으로 700년 이상 이어졌다.

그런데 왜 그토록 허무하게 역사에서 사라지고 말았을까. 정복 도구를 가장 많이 가질 수 있는 나라가 왜 그렇지 못한 나라에게 정복당하고 말았을까. 김해에서 들지 않을 수 없는 의문이다. 가야의 멸망 원인은 기록도 충분치 않고 유물로도 확인되지 않는다. 상상의 영역일 뿐이다. 하지만 고개가 끄덕여지는 추론은 가능하다.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이 대체로 동의하는 것은 가야가 중앙집권이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스른 소국 연합체를 고집한 점이다. 해운이나 농업의 입지 조건이 비슷하고 문화 축적도 대체로 고르게 이뤄낸 소국들이 어느 특정국이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꺼려 서로 견제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웃 백제나 신라에 비해 중앙집권국가를 이루지 못해 힘을 결집할 수 없었다. 마치 세계 최고의 문명을 가졌던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이 서로 견제하다 외세의 오랜 지배를 초래한 것과 유사한 결과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4세기 말에 고구려의 남정(南征)으로 가락국이 사실상 멸망함으로써 도약의 기회를 잃고 말았다. 또한 철 생산 역시 5세기 이후 왜가 철광산을 개발하고 백제가 직접 왜와 무역에 나서기 시작하면서 경쟁력이 약화됐다. 지나치게 무역에 의존한 경제와 외세에 기댄 정치가 굳건한 국가의 기틀을 만드는 데 실패한 것이다. 드넓은 김해평야가 당시에는 육지가 아니라 바다였다는 사실이 가야의 운명을 그렇게 이끌었을지도 모르겠다.

이훈범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