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논설위원이 간다

왜 두 아들엔 안줬나···80대 '400억 기부' 사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이상언 기자 중앙일보 논설위원

[이상언 논설위원이 간다] 평생 모은 400억 재산 내놓은 할머니를 만나다

집 앞에 나온 양영애 할머니. 뒷편 건물들이 기부한 부동산이다. [김상선 기자]

집 앞에 나온 양영애 할머니. 뒷편 건물들이 기부한 부동산이다. [김상선 기자]

악착같이 돈을 벌고 모아 자식에게 한 푼이라도 더 물려주는 게 미덕인 세상이다. 그런데 노부부가 평생 모은 400억원 상당의 재산을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써 달라며 대학교에 기부했다. 지난달 하순에 이 소식이 보도되자 많은 사람이 놀랐다. 길거리 과일 장사를 시작으로, 그야말로 억척스럽게 모은 재산이라 울림은 더 컸다. 무슨 생각에서 그런 일을 했을까. 빈손에서 시작해 어떻게 그렇게 많은 재산을 가지게 됐을까. 자식이 있는데 왜 남들처럼 유산으로 남겨주려 하지 않았을까. 알고 싶은 게 많아 찾아가 봤다.

할아버지는 기부식 뒤 건강 악화 #고려대, 학교 병원 VIP실로 모셔 #“재산 많이 물려준다고 해서 #자식이 잘된다는 보장 없어” #“평생 소원이 빌딩 세우는 것 #고려대가 꿈 대신 이뤄주기로”

김영석·양영애 부부. 할아버지는 호적에 1927년생으로 돼 있지만 실제로는 31년생이다. 해방 뒤 북한 땅에서 월남했는데, 생계가 막막해 군대에 일찍 가려고 호적상 나이를 늘렸다고 한다. 우리 나이로 여든여덟이다. 할머니는 네 살이 적다. 부부는 60년에 서울 종로5가에서 손수레 과일 장사를 시작했다. 76년에 청량리 로터리 인근의 상가 건물을 하나 샀고, 그 뒤 바로 옆 부동산들을 꾸준히 매입했다. 그렇게 마련한 400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고려대에 기부했다. 부부에게는 20대 때 미국에 가 정착한 50대의 두 아들이 있다. 손자·손녀도 있다. 부부가 사는 청량리동 아파트에 지난 1일에 갔을 때 할아버지는 집에 없었다. 건강이 악화돼 병원에 입원 중이었다. 양영애 할머니와 이야기를 나눴다.

고려대에서 열린 기부식 장면. 김영석 할아버지와 염재호 총장이 손을 잡았다. [뉴시스]

고려대에서 열린 기부식 장면. 김영석 할아버지와 염재호 총장이 손을 잡았다. [뉴시스]

할아버지 많이 편찮으신 건가요?
“그 식(고려대에서의 기부식)을 한 날(지난달 25일) 다음날 새벽에 화장실에서 쓰러져 계속 집에 누워있었는데 그 얘기를 들은 학교 사람들이 고대병원으로 데리고 갔어. 구급차까지 보내서. 지금 VIP실에 있어. 다리에 힘이 없어 걷지를 못하고 말도 못해. 어제 MRI(자기공명영상 장치)를 찍었다고 하던데….”
병원에 안 가보셨어요?
“아직 못 갔어. 그동안 등기 이전 뭐 그런 거 하느라 정신없었어. 나도 감기 때문에 아파서 오늘 나흘 만에 처음 샤워를 했어. 내일쯤 가려 해. 당장 뭐 어떻게 되고 그런 거는 아니니까.”
그 식 끝난 뒤에 어떠셨어요? 재산 다 내놓으셔서 마음이 허전하진 않으셨어요?
“전혀(손사래를 치며). 기부를 하고 나니까 기부가 좋다는 걸 알겠더라고. ‘아, 기부라는 게 이래서 좋은 거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됐지.”
뭐가 그렇게 좋으셨나요?
“사람들이 다들 칭찬하잖아. 동네에서 만나는 사람마다 잘했다, 큰일 했다고 해. 지나가던 아이가 나를 보고 자기 엄마한테 ‘기부 할머니다’고 그러기도 하고. 이렇게 칭찬받고 사는 게 쉬운 게 아니잖아.”
언제 기부하겠다고 마음먹으셨어요?
“내가 작년까지 열네 달을 유방암 치료를 받았어. 그리고 작년부터 할아버지가 말을 못하고.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지. ‘재산의 전부든, 반이든 학교 같은 데 기부하면 좋겠다’ 하는 맘이 들더라고.”
아드님이 두 분 계시는데(거실에 두 아들 내외와 손자·손녀가 함께 찍은 사진이 걸려 있었다), 아들에게 물려줄 생각은 안 하셨어요?
“자식에게 절반 주고 나머지 절반만 기부할까 생각도 했는데, 그렇게 되면 빌딩을 못 지을 것 같아 생각을 바꿨지. 내 소원이 빌딩 세우는 거야.”
빌딩이요?
“내가 처음 땅을 산 게 42년 전이야. 116평을 5400만원 주고 샀어. 평당 50만원이 안 됐지. 지금은 평당 6000만원이 넘는다고 하네. 그 뒤에 은행 대출받고 해서 그 옆 건물들 계속 사서 그쪽에 있는 것 다 합하면 500평쯤 돼. 거기에 높게 빌딩을 세우고 싶었어. 근데 중간에 끼어 있는 땅 하나를 못 사기도 했고 돈도 없고 해서 빌딩을 포기했어. 이젠 늙어서 뭘 하기도 힘들고.”
결국 빌딩은 못 세우는 거네요.
“아니, 학교에서 빌딩 세워주기로 했어. 그 땅 위에 건물 세운다고 약속했어. 건물에 ‘김영석, 양영애’ 이름도 새겨주기로 했고. 건물을 세워서 뭐로 쓰던 할아버지하고 내 이름이 있는 빌딩이 생기는 거야.”
부동산을 어떻게 400억원어치나 갖게 되셨는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처음에 5400만원 주고 살 때 내 손에 400만원밖에 없었어. 은행에서 4000만원 빌리고, 아는 사람한테 1000만원 빌렸어. 과일 장사해서 원금·이자 18년 동안 갚았어. 그 뒤에 옆에 건물 팔겠다고 할 때 은행 돈 빌리고 세 들어 온 사람 보증금 합하고 해서 샀지. 그런 식으로 계속 산 거지. 이자 갚는다고 죽을 둥 살 둥 살았어.”
아드님이 서운해하지 않을까요?
“그래도 하는 수 없지. 두 아들한테 옛날에 미국에 집도 하나씩 사주고 할 만큼 했어. 둘 다 살 만하고. 돈이라는 게 자기가 힘들여 벌지 않으면 의미 없는 거야. 재산 물려준다고 해서 자식들이 더 잘되는 것도 아니고. 잘못하면 자식 망치는 거지.”
할머니의 점심 반찬이다. [이상언 논설위원]

할머니의 점심 반찬이다. [이상언 논설위원]

자식에게 물려주지 않고 기부하는 것을 이해하기 힘들어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난 애들이 고등학교 다닐 때까지 자장면 한 번 안 사줬어. 평생 생일, 환갑 이런 것도 모르고 살았고. 그렇게 모은 건데 나 죽고 나서 그냥 흩어지면 슬프잖아. 자식들이 잘 지킨다는 보장도 없고. 이젠 내가 죽어도 고생하며 살아온 보람이 남게 되잖아. 난 요만큼도 후회 안 해. 정말 제일 잘한 일이라고 생각해.”
고려대를 선택하신 이유는 뭐죠?
“여러 사람이 여기에서 가까운 데 있는 고대가 잘 돼야 이 동네도 좋아진다고 하더라고. 큰아들이 고대 나오기도 했고. 토목공학과 79학번이야.”
기억력도 좋으시고, 말씀도 하나 틀린 것 없이 정확하게 하시네요.
“내가 육 남매 중 둘째인데. 언니하고 나하고만 학교를 못 갔지. 동생 넷은 다 좋은 학교 나왔어. 아버지가 ‘육 남매 중 네가 제일 머리가 좋다. 그러니 넌 학교 안 가도 잘 살 거다’고 했어.”
재산 다 내놓으셨는데 앞으로는 어떻게 사세요?
“고대에서 할아버지하고 나하고 죽을 때까지 생활비 대주기로 했어. 아프면 입원도 시켜준다고 하고. 지금 이 아파트 8억원쯤 한다는데, 나 죽은 다음에 이것도 학교에서 가져가게 할 거야.”

‘400억 기부’가 보도된 뒤 많은 사람이 ‘과연 학교가 학생들을 위해 잘 쓸까’라는 의문을 표시했다. 유병현 고려대 대외협력처장(기금기획본부장 겸임)에게 물어봤다. 그는 “두 분의 뜻을 받들어 그 땅에 건물을 짓고, 거기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학생들 장학금을 주려 한다. 정말 힘들게 모은 재산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단 한 푼도 허투루 쓰이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유 처장은 "이미 10억원 이상 기부자들은 전액 무료로 학교 병원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 있다. 두 분께 생활비도 드릴 것이다. 숭고한 뜻으로 모든 것을 내놓으신 그분들의 여생을 학교가 책임지는 것은 당연한 도리다”고 덧붙였다.

이상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