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차선 정보 한 눈에 …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마주 오는 차량은 물론 주위 환경까지 파악하는 현대모비스의 AADB. [사진 현대모비스]

마주 오는 차량은 물론 주위 환경까지 파악하는 현대모비스의 AADB. [사진 현대모비스]

지능형 헤드램프는 미래 자율 주행 시대에서 야간 안전주행을 위한 필수 기술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헤드램프가 주행 방향을 비춰주는 기능만 했지만 지금은 차량과 도로를 감지하고 원하는 부위만 비춰주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현대모비스

지능형 헤드램프는 뒤에서 추월하는 차량이나 빠르게 코너를 돌아나가는 차량 등 상대 차량의 급격한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 카메라로 전방의 불빛을 감지해 인식하는 기술적 한계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운전자 지원 기술(ADAS)과

연계해 상시 상향등 상태에서 시야를 확보하는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AADB·Advanced Adaptive Driving Beam)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카메라가 수집하는 정보의 종류를 늘리고 레이더·조향각 센서 등을 활용한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다.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해 더욱 정밀하게 빛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 특징이다.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는 카메라가 전방의 불빛만을 감지하던 것에서 벗어나 차선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고, 레이더로 후측방에서 추월하는 차량 정보를 감지한다. 내비게이션으로 도로 정보까지 활용한다. 조향각 센서로 커브 길의 곡률 정보까지 파악할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초 개발에 착수해 약 1년 6개월 만에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모비스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적용 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첨단 지능형 헤드램프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과 가격 경쟁력을 함께 갖췄다는 점을 강조한다. 국내 6건, 해외 12건의 특허도 출원했다.

현대모비스 램프 설계 담당 미르코 고에츠 이사는 “다양한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존 지능형 헤드램프의 성능을 개선해야 하는 만큼, 경쟁하는 글로벌 램프 업체들이 단기간에 기술 격차를 좁히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오토뷰=전인호 기자 epsilonic@autoview.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