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안중근의 스승 이상설, 그의 무덤이 없는 까닭은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러시아 우수리스크 수이푼 강가의 이상설 유허비를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이사장 소강석 목사(가운데)와 연해주에 사는 독립운동가 후손 김 엘라시나 예브나(73·왼쪽)와 최 나제즈다 알렉산드로(83)가 찾았다.

러시아 우수리스크 수이푼 강가의 이상설 유허비를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이사장 소강석 목사(가운데)와 연해주에 사는 독립운동가 후손 김 엘라시나 예브나(73·왼쪽)와 최 나제즈다 알렉산드로(83)가 찾았다.

도마 안중근(1879~1910) 의사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은 누구일까. 백범 김구도, 몽양 여운형도, 우남 이승만도 아니었다. 안중근 의사는 뤼순 감옥에 수감돼 있을 때 “내가 가장 존경하는 분은 이상설이다. 이범윤 같은 의병장 1만이 모여도 이 한 분에 미치지 못한다”고 말한 바 있다. 숱한 항일 인사 중에서도 안중근은 유독 ‘이상설(1870~1917)’을 꼽았다. 그 이유는 대체 무엇이었을까.

내년 3·1운동 100년, 만주를 가다 #안중근 “내가 가장 존경하는 분” #간도 첫 근대식학교 세워 인재양성 #최초 망명정부 대한광복군 창설 #헤이그 밀사 관련 사형선고 받아 #연해주 강가에는 쓸쓸한 유허비 #“내 몸을 불태워 강물에 보내라”

내년 ‘3·1 독립만세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한민족평화나눔재단(이사장 소강석 목사) 주최로 22~27일 러시아 연해주와 중국의 간도 일대의 항일독립유적지를 순례했다. 인천공항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길은 가깝고도 먼 길이었다. 한국 국적기를 탔더니 북한 영토를 피해 동해로 빠졌다가 북쪽의 중국 땅을 거쳐 다시 동쪽으로 이동해야 했다. 반면 러시아 항공기는 인천에서 북한 영공을 지나 곧장 블라디보스토크로 직선으로 날아간다. 한반도의 분단이 새삼 실감 났다.

지금은 중국과 러시아 땅이 된 간도와 연해주 일대에는 ‘이상설의 삶과 죽음’이 새겨져 있다. 1900년대 일제의 침탈이 갈수록 노골화하자,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의 조선인들은 대거 연해주와 간도로 떠났다. 궁핍한 삶에 먹고 살 땅을 찾아간 이들도 많았고, 일제의 손아귀에서 벗어나 항일 독립운동을 꿈꾸는 이들도 있었다. 이상설은 후자였다. 충북 진천이 고향인 그는 25살 때 과거에 급제했다. 1905년 의정부 참찬일 때는 ‘을사오적’의 처단을 주장하는 상소를 다섯 차례나 올렸다. 목숨을 건 상소였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는 관직을 내던졌다. 그리고 국권회복운동에 나섰다. 1906년에는 아예 조선을 떠나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간도 용정으로 갔다. 그렇게 항일운동에 몸을 던졌다.

이상설은 광복을 보지 못함을 애통해하며 자신의 유해를 수이푼 강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상설은 광복을 보지 못함을 애통해하며 자신의 유해를 수이푼 강에 뿌려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버스를 타고 용정촌으로 갔다. 이곳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무대이자, 시인 윤동주의 고향이고, 영화 ‘아리랑’을 제작한 나운규가 다니던 명동 학교가 있던 곳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북간도 일대 항일 독립운동의 중심지였다. 그곳에 ‘이상설의 뜻’이 있었다. 용정촌에 도착한 이상설은 먼저 자신의 재산을 털어서 8칸짜리 한옥을 샀다. 당시로선 꽤 큰 집이었다. 그리고 학교를 세웠다. ‘서전서숙(瑞甸書塾)’. 서당식 교육에서 벗어나 간도 땅에 세운 첫 근대식 학교였다. 거기서 ‘이상설의 안목’이 보였다. 지속가능한 인재 양성과 지속가능한 항일 투쟁을 위한 남다른 통찰이었다.

용정촌에는 지금도 이상설의 이름을 딴 정자 ‘이상설정’이 서 있다. 서전서숙을 세운 이듬해인 1907년 고종 황제는 이상설을 헤이그 밀사에 임명했다. 이상설이 떠나자 학교는 재정난을 겪다가 문을 닫았다. 그러나 서전서숙은 ‘씨앗’이 됐다. 용정에 있던 세 개의 서당이 힘을 합해 근대식 민족교육기관 ‘명동서숙(명동학교 전신)’을 세우는 주춧돌이 됐다.

안중근

안중근

버스는 용정을 지나 명동촌으로 갔다. 명동촌은 용정의 이웃 마을이다. 버스로 15분 거리였다. 명동촌 초입에 높다랗게 서 있는 선바위가 있었다. 윤동주 생가를 관리하며 명동촌 촌장을 지낸 송길연(63)씨는 “안중근 의사가 명동촌의 저 선바위에서 사격 연습을 했다”며 “명동학교 졸업생은 99%가 독립운동에 투신했다”고 설명했다.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뒤 작성된 일본 헌병대사령관 아카시 모토지로의 비밀보고서가 최근에 공개됐다. 일제가 안 의사의 배후를 캐기 위한 문서였다. 비밀보고서에는 ‘안응칠(안중근의 아명)은 이상설에 의탁해서 당시 미국에서 귀국한 안창호와 함께 간도에 갔다’고 기록돼 있다. 안 의사가 간도로 간 이유 중 하나가 이상설의 문하생이 되기 위함이었다. 안 의사는 뤼순 감옥에서 심문을 받을 때 “(이상설은) 포부가 매우 크고, 세계 대세를 통해 동양의 시국을 간파하고 있다. 용량이 크고 사리에 통하는 큰 인물로서 대신(大臣)의 그릇이 됨을 잃지 않았다”며 자신의 ‘사상적 스승’을 평했다.

이상설

이상설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쪽으로 112㎞를 달려 우수리스크에 도착했다. 헤이그 밀사 건으로 일제는 피고인이 없는 궐석 재판을 열어 이상설에게 사형 선고를 내렸다. 귀국을 단념하고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온 ‘사형수 이상설’은 연해주 일대의 의병을 모아 13도 의군을 편성했다. 한일병합반대운동도 벌였다. 최초의 망명정부인 대한광복군 정부를 세워 대통령에 선임됐다. 그러나 1917년 망명지 연해주에서 병에 걸려 47세에 세상을 떠났다.

버스를 타고 우수리스크의 수이푼 강으로 갔다. 무덤은 없지만 이상설의 유허비(遺墟碑)가 세워진 곳이다. 그의 유언은 이랬다. “나는 조국 광복을 이룩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니, 어찌 고혼(孤魂)인들 조국에 갈 수 있으랴. 내 몸과 내 유품, 내 유고는 모두 불태워 강물에 흘려보내고 제사도 지내지 말라.” 그의 유해는 수이푼 강물에 뿌려졌다. 북방의 바람은 차가웠다. 강물은 지금도 흘렀다. 이상설이 잠든 곳은 이국의 땅이 아니었다. 우리 가슴 속에 강물처럼 흐르고 있는 역사 속이었다.

룽징·우수리스크·블라디보스토크=
글·사진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