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조작 못 막는다…네이버가 뉴스편집 않는 게 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뉴스 댓글을 기계적으로 조작하는 ‘매크로’를 원천봉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네이버가) 뉴스 편집을 하지 않는 것이 근본 대책 중 하나"라는 말도 했다.

이 GIO는 26일 국회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장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다.

그는 “매크로는 사람이 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으로 대단한 기술이 아닌 한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없다”며 “모든 인터넷 업체가 겪는 문제”라고 말했다. 이 GIO는 “편집한 뉴스에 관심이 과도하게 몰리고 있고 우리가 뉴스를 편집하지 않고 언론사가 하는 형태로 바꾸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이 “(드루킹 일당의) 대선 여론조작을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책임을 통감하느냐”고 묻자, 이 GIO는 “우리 서비스에서 사회적 문제가 된 것을 안타깝고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GIO는 이어 "편집한 뉴스에 관심이 과도하게 몰리는 게 근본적인 문제"라며 "우리가 뉴스를 편집하지 않고 언론사가 하는 형태로 바꾸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홈페이지(메인 페이지)에서 뉴스를 빼는 게 근본 대책 중 하나"라고 말했다.

해외에서 사업을 추진하면서 부딪친 어려움도 털어놨다. 이 GIO는 “해외에서 사업할 때 데이터 문제로 고충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유럽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법 문제 등에 대해 유럽과 일본은 국가 차원에서 대응하는데 우리는…. 프랑스에서 사업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 GIO는 네이버 이사회 의장에서 물러난 후 프랑스 등에서 머물며 공식 석상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