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별별 마켓 랭킹] 사모펀드 MBK 재계 19위 등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사모펀드(PEF)에는 한때 ‘투기 자본’이란 딱지가 따라 다녔다. 국내 시장에 PEF가 들어오기 시작한 게 1997년 외환위기 때이다 보니, 자금난에 처한 국내 기업을 헐값에 사들여 비싼 값에 되파는 외국계 PEF의 행태가 ‘국부 유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PEF의 설립 목적은 펀드 투자자들에게 약정된 수익률을 실현해 내는 것이다. 한지영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PEF가 단기 이익만 추구한다는 비판 때문에 한국 정부는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선 진즉부터 허용한 PEF를 2004년에서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토종 사모펀드 13년 새 12배 성장 #부실기업 인수, 알짜 만들어 매각

PEF가 본격 도입된 지 14년 만에 국내서 설립된 토종 PEF의 성장은 눈부실 정도다. 2005년 투자자들이 국내 사모펀드에 투자한 출자 약정액은 5조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62조6000억원으로 불어났다. 국내 최대 PEF인 MBK파트너스의 경우 투자 자산 규모가 17조원에 달해 올해 재계 순위로 따지면, LS·대림그룹(20조원)에 이어 19위에 해당한다.

경영참여형 사모투자펀드(PEF) 현황

경영참여형 사모투자펀드(PEF) 현황

양적 성장은 질적 변화도 가져왔다. 과거에는 부실기업이 생기면 산업은행 등을 통한 구조조정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청산 절차를 밟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젠 PEF가 부실기업을 사들여 정상 기업으로 만드는 등 기업 회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PEF를 거쳐 가치를 높인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도 증가했다. 국내 PEF 역시 내수 기업 중심에서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으로 투자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투기 자본’이란 정체성이 ‘모험 자본’으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금융감독원의 ‘경영 참여형 PEF 현황(2018년 6월 말 기준)’을 토대로 14일 현재 출자 약정액 기준 국내 PEF 순위를 집계한 결과, 국내 PEF 중 가장 많은 투자자금을 끌어모은 곳은 MBK파트너스(출자 약정액 9조8978억원)였다. 2005년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막내 사위인 김병주 회장 결성한 이 펀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독립 사모펀드로 성장했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를 7조6000억원에 사들이며 아시아 1위 PEF로 도약했다. 이 펀드는 또 국민연금은 물론 북미·유럽·중동의 연기금이나 국부펀드로부터 자금을 끌어와 코웨이·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등에 투자했다.

MBK파트너스 뒤를 이어 한국산업은행이 조성한 PEF가 6조8935억원의 출자약정액을 모아 2위를 차지했다. 국책은행이 주도하는 PEF답게 부실기업을 인수해 구조조정을 하는 데 활용하거나 국가 인프라 산업 등에 투자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두각을 보이는 PEF는 출자약정액 3위(3조9069억원)의 한앤컴퍼니다. 이 PEF는 최근 재무 상황이 악화한 SK해운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한앤컴퍼니는 중고차 사업을 하는 SK엔카를 비롯해 대한시멘트나 웅진식품 등을 사들여 ‘잡식성 PEF’의 면모를 보였다.

한앤컴퍼니 다음으로는 은행권 부실채권 인수 전문회사 연합자산관리(2조8960), IMM프라이빗에쿼티(2조8300), 스틱인베스트먼트(2조2744)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한국 ‘1호 토종 PEF’로 불리는 VIG파트너스는 2014년 태양광 업체 LG실트론 투자 실패 이후 위기를 겪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PEF 규모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참여연대 출신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혁 수단으로 PEF를 꼽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국민연금·공제회 등 연기금이 주식·채권 이외의 자산에 투자하는 대체투자 규모를 늘리는 추세도 PEF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