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올해 韓 경제성장률 3.0→2.8% 하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제통화기금(IMF)이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 등을 세계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지적하며 올해 한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8%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보다 0.3%포인트 낮은 2.6%로 예상했다.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EPA=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 본사. [EPA=연합뉴스]

IMF는 9일(현지시각)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올해와 내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이같이 수정했다. IMF의 한국 성장률 전망은 올해 2월 한국 정부와의 연례협의보고서에서 발표한 이후 8개월 만이다. 지난 7월 IMF가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는 한국이 포함되지 않았다.

IMF는 세계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심화하는 무역갈등을 들었다. 미국 금리 인상 등으로 기초체력이 약한 신흥국 중심으로 자본 유출 우려가 가시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IMF는 보고서에 한국에 대한 개별적인 정책 권고는 담지 않았다. 다만 개별국가에 국가별 경기 상황에 따라 통화 정책을 운용하고, 재정 여력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상품·노동시장의 구조개혁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올해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7월(3.9%)보다 0.2%포인트 낮은 3.7%로 전망했다. IMF는 성장률 전망치는 낮추면서도 전반적인 경기 호조세는 지속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2016년 중반부터 시작된 경기 확장세가 지속하고 있으며 2018∼2019년 성장률도 2010∼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지역별로 성장세의 불균등(less balanced)이 나타날 수 있다고 자적했다.

선진국 성장률 전망은 7월과 같은 2.4%를 유지했고, 내년 전망은 2.2%에서 2.1%로 내려 잡았다.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2.9%를 유지했고, 유로존은 2.2%에서 2.0%로 하향 조정했다. 신흥국은 4.9%에서 4.7%로 낮춰 잡았다. 특히 내년 전망은 긴축적 금융 여건 등으로 5.1%에서 4.7%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