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조종사 해외 유출 심각…86%가 중국행”

중앙일보

입력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위로 비행기가 이륙하고 있다. [뉴스1]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위로 비행기가 이륙하고 있다. [뉴스1]

최근 5년간 국내 조종사들의 해외 유출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송석준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2018년 외항사로 이직한 조종사가 393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2014년 24명에서 2015년 92명, 2016년 100명, 지난해 145명으로 최근 3년 새 6배 이상 급증했다.

항공사별로는 대한항공이 166명(42.2%)으로 가장 많았고, △아시아나항공 81명(20.6%) △진에어 42명(10.7%) △에어부산 41명(10.4%) △제주항공 29명(7.4%) △이스타항공 26명(6.6%) △티웨이항공 5명(1.3%) △에어서울 2명(0.5%) △에어인천 1명(0.3%) 순이었다.

이직 국가로는 중국이 전체의 85.5%(336명)를 차지했다. 이는 최근 항공 시장이 급격히 성장한 중국이 자체적으로 수급하지 못하는 항공종사자 수요를 주변국인 우리나라에서 수급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건강상의 문제로 일을 그만두는 조종사도 늘고 있다.

최근 5년간 신체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아 조종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게 된 조종사는 146명으로 조사됐다. 2014년 34명에서 2015년 29명, 2016년 20명으로 줄었지만 지난해 37명으로 급증했으며, 올해 부적합자 판정을 받은 조종사는 26명에 달한다.

부적합 사유로는 눈 기능 저하로 인한 부적합 판정이 71명(48.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순환기계통 28명(19.2%), 호흡기계통 13명(8.9%), 신경정신계통 14명(9.6%) 등이 뒤를 이었다.

송 의원은 “숙련된 조종사 유출을 막으려면 건강 문제부터 복지혜택까지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미국, 중국, 일본 등처럼 항공종사자의 수요를 예측해 인력 관리를 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