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예쁘게 나와서 실력으로 깜짝 놀라게 하는 현악4중주단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부터 국제 콩쿠르에 잇따라 입상하며 주목받고 있는 에스메 콰르텟. 왼쪽부터 배원희(바이올린), 허예은(첼로), 김지원(비올라), 하유나(바이올린).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지난해부터 국제 콩쿠르에 잇따라 입상하며 주목받고 있는 에스메 콰르텟. 왼쪽부터 배원희(바이올린), 허예은(첼로), 김지원(비올라), 하유나(바이올린).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바이올린 둘, 비올라, 첼로가 만나는 현악4중주팀의 모든 멤버가 남자인 경우는 많다. 혼성인 경우는 더 많다. 하지만 여성 연주자로만 된 팀은 거의 없다. 국내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찾기가 힘들다.

2016년 결성한 에스메 콰르텟이 그 드문 예 중 하나다. 바이올린 배원희(31)ㆍ하유나(27), 비올라 김지원(26), 첼로 허예은(26)으로 된 이 팀은 창단 1년 6개월 만에 지난 4월 런던의 위그모어홀 현악4중주 콩쿠르에서 1위에 올랐다. 하겐 콰르텟, 아르카디아 콰르텟 등 세계적 현악4중주팀이 우승했던 대회고 에스메 콩쿠르의 말에 따르면 “대기실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짧게는 6~7년씩 호흡을 맞춘 팀들이었다”는 콩쿠르다.

에스메 콰르텟은 지난해에 노르웨이 트론헤임 콩쿠르에서 3위에 오른 후 런던에서까지 1위를 수상하며 세계 무대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올 여름엔 프랑스의 엑상 프로방스 페스티벌의 상주 쿼르텟으로 연주를 했고 내년엔 스위스의 루체른 페스티벌에 데뷔한다.

유럽을 중심으로 동양 여성 연주자들의 현악4중주단이 활동하는 것이 만만한 일은 아니다. 고정관념은 언제나 어렵지 않게 맞닥뜨린다. “콩쿠르 우승 이후 매니지먼트와 첫 미팅을 하는 자리에서 질문을 받았어요. ‘여성이 넷이고 다들 결혼을 할 것 같은데 가족 계획은 어떻게 되느냐’고요.”(배원희) 쉽지 않은 질문들에 대한 에스메 콰르텟의 답은 경쾌하다. “아이는 여자만 낳는 것도 아니고, 가족을 만드는 일이 왜 꼭 여성 연주자에게만 난관이 돼야 하나요.”(하유나)

2016년 독일에서 유학 중 만나 결성된 에스메 콰르텟은 지금도 독일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2016년 독일에서 유학 중 만나 결성된 에스메 콰르텟은 지금도 독일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걸크러시 여성 4중주단의 걸음은 이처럼 상쾌하다. “여자들끼리 연주 여행을 다니니 방값도 덜 들고, 고민 얘기도 잘 통하고, 다들 먹는 걸 좋아해서 너무 힘든 연주가 있으면 맛있는 거 먹으러 다니면서 풀어요.”(김지원) 난관이 있으면 똘똘 뭉쳐서 넘고, 유럽의 음악잡지가 일본의 여성 현악4중주단의 사진을 에스메의 이름으로 게재하면 친절하게 수정해주는 여유가 있다.

에스메의 연주를 보고 나면 단순하지만 즐거운 이들의 해법이 이해가 된다. 젊은이의 설레고 들뜬 표정으로 악기를 잡은 네 명이 활을 긋는 순간 무대 위는 살벌해진다. 고전 시대인 하이든의 작품 마저도 현대성에 가까운 선명함이 살아나고 베토벤 현악4중주의 줄거리는 더욱 드라마틱해진다. 본인들의 말처럼 “걸그룹보다는 여장부들에 가까운“ 연주다.

에스메 콰르텟은 여성 콰르텟이라는 점을 비켜가지도 과장하지도 않는다. 여성성을 희석시키지도, 아름다움을 부러 피하지도 않는다. “유럽 청중엔 할머니들이 많은데 젊은 동양 여성들이 무대에 나와 앉으면 ‘아 예쁘다’해요. 그러다가 저희가 연주를 마치면 기에 눌린 것 같은 표정이에요.”(하유나)
예쁘게 나와서 실력으로 깜짝 놀라게 하는 현악4중주단이 에스메 콰르텟이다. 곡목 선정에도 놀라움이 있다. “콩쿠르에서 연주한 슈베르트 D.887도 청중이 다 놀라더라고요. 너무 길고 어려운 곡이어서요. 그런데 저희는 연주 곡목을 짤 때도 25분짜리 두 개 정도 넣고 90~100분 정도로 길게 연주 해야 직성이 풀려요.”(김지원)

에스메 콰르텟. [사진 금호아시아나 문화재단]

에스메 콰르텟. [사진 금호아시아나 문화재단]

콰르텟의 시작은 서울대 음대에서 했다. 같은 학년이던 김지원과 허예은이 다른 멤버들과 함께 현악4중주단을 만들어 3년동안 활동했고 둘은 각각 뒤셀도르프와 쾰른으로 유학을 떠나 자연스럽게 팀이 해체됐다. “쾰른 음대에서 학점을 따느라 다시 멤버를 모았어요. 수업에서 실내악을 꼭 해야돼서요.”(허예은) 쾰른에 와 있던 배원희가 합류를 했고 프랑스에서 머물던 하유나를 제2바이올린으로 영입했다. 각자 독주자로서 강렬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던 네 명은 팀을 결성한 후 학교 내 콩쿠르 1위에 오르며 콰르텟을 지속시키기로 했다. 시험 삼아 나가본 국제 콩쿠르에서 다시 입상을 했고 본격적으로 현악4중주 활동을 시작했다.

이처럼 우연한 시작은 마음에 있던 4중주의 열정에 대한 발견이기도 했다. 김지원은 “처음 비올라를 시작한 것도 드보르자크의 ‘아메리칸’ 현악4중주 오프닝을 듣고서였다”고 했고 배원희는 “외동딸이고 긴 유학 생활도 혼자 했는데 동료들과 다니는 현악4중주가 너무 부러웠다”고 했다. 멤버들은 독주 기회를 일부 포기하면서까지 에스메 콰르텟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연주 스타일이나 철학은 영락없이 ‘좋아서 하는 팀’이다. 하지만 준비 과정은 치열하다. 365일 중 360일은 모여서 연습을 하고 중요한 무대를 앞두고는 하루에 10시간씩이라도 호흡을 맞춘다. 하지만 무대 위에서만큼은 음악이 그저 흘러가게 놔둔다. “팀 색깔이 뭔지에 대해 고민을 오래 했지만 무대 위에서 어느 순간 만들어지는 것의 매력이 참 좋다는 걸 알게 됐다. 네 명이 서로 다른 게 매력이다.”(허예은) 각자의 색이 팀 때문에 사라지지 않는 것이 현재 에스메 콰르텟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우리는 각자 개성이 아주 다르다 생각하며 연주했는데 공연이 끝나면 꼭 ‘한 마음으로 연주하는 게 신기했다’는 청중이 있더라. 연주에 개성은 있지만 음악을 대하는 감성 자체는 멤버들끼리 비슷해서 그런 것 같다.”(하유나)

즐겁고 경쾌한 팀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신생팀이다. “지금 유럽 무대에서 비슷하게 활동하는 팀을 보면 최소 7년이고 대부분 10년은 됐더라. 이제 2년된 팀으로서 연주를 많이 해보면서 경험으로 이들을 따라잡거나 앞질러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허예은) 에스메의 현재 색깔과 맞거나 맞지 않는 곡을 섞어가며 연주 곡목을 늘리는 것이 우선 목표다. 프랑스 고어(古語)인 에스메(esme)는 ‘사랑받는’이라는 뜻이다. “할머니들이 될 때까지 함께 연주하겠다”는 꿈에 도움을 줄만한 이름이다.

김호정 기자 wise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