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올해 금리 3번째 인상…한국은행도 올해 올리나

중앙일보

입력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EPA=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EPA=연합뉴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따라 미 기준금리는 기존 1.75~2.00%에서 2.00~2.25%로 올랐다.

연준은 이날 이틀간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들어 3월과 6월에 이은 세 번째 인상이다. 기준금리가 2% 상회한 것은 리먼 브러더스 금융 쇼크 후인 2008년 10월 이래 처음이다.

미 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는 0.75%포인트로 확대됐다. 이는 2007년 7월 이래 11년여 만에 가장 큰 차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부터 1.5%를 유지 중이다.

미 금리 인상은 신흥국 불안 등을 초래하며 간접적으로,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 부담을 늘리는 요인이다. 일부 국가에서 외채 만기 연장이 안 되고 급격하게 자본이 빠져나가는 ‘서든 스탑’이 발생하고, 불안이 주변으로 퍼지면 한국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내외 금리 차가 크면 충격파가 확대될 수 있다.

연준은 또 오는 12월 한 차례 더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은 나아가 내년에는 3차례, 2020년에는 1차례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금융시장은 한국은행이 조만간 기준금리를 한 차례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가 22개 투자은행(IB)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올해 4분기 말 금리 전망 중간값은 1.75%로 집계됐다.

다만 금리 인상 시기를 두고는 전망이 엇갈린다. 10월은 한은이 경제전망을 수정하는 시기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러면서 금리를 올리려면 매우 강한 명분이 필요하다. 11월로 미룬다고 사정이 좋아진다는 보장은 없다.

그렇다고 금리를 그대로 두기에는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다.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저금리로 인한 금융 불균형의 대표 사례이자 한국 경제의 뇌관으로 꼽힌다. 한국 경제를 위한 이주열 총재의 선택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