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상님은 추석에 전을 드시지 않았다…“차례상에 전 부치지 마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석에 전을 부치는 것이 전통일까?

현대 차례상은 "잘못 전승된 예법" #유교식 제사상에 기름진 음식 올리지 않아 #조율이시·홍동백서 “모두 근거 없다”

전 부치기는 여성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추석 노동’이지만 유교 전문가들에 따르면 잘못된 방식으로 전승된 예법이라고 한다. 본래 유교식 제사상에는 기름진 음식을 올리지 않았으며, 전을 올리는 것은 사찰식 제사 전통이라는 이유에서다.

22일 한국국학진흥원은 추석 차례상으로 '간소한 상차림'을 권고했다.

대한주부클럽연합회 회원들이 추석맞이 전통예절 시범을 보이고 있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중앙포토]

대한주부클럽연합회 회원들이 추석맞이 전통예절 시범을 보이고 있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중앙포토]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제례의 본래 의례와 상차림은 지금보다 훨씬 간소하다. 제례문화의 규범서인 주자가례(朱子家禮)를 보면 제사음식의 종류는 간장 종지를 포함해 총 19가지다. 오히려 현대에 와서는 기본 30가지가 넘는 제물을 차린다.

또 주자가례에는 과일도 '과(果)'로만 그려져 있다. '조율이시(棗栗梨柿)'의 대추·밤·배·감 등과 같이 구체적인 과일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것은 동쪽,흰 것은 서쪽)나 '조율이시' 등의 진설법은 근거가 없는 셈이다. 뿐만 아니라 생선은 오늘날처럼 조기나 방어 등 구체적 이름이 아니라 '어(魚)'로만 표기돼 있다.

주자가례뿐 아니라 ‘가례집람’ ‘격몽요결’ 등 유교 서적에도 ‘적(炙)’과 ‘과(果)’ 등 육류와 과일 위치에 대한 큰 구분만 있을 뿐이다. 과일의 종류와 전시 순서를 세세하게 적시한 내용은 없다. 이런 점에서 제사음식의 간소화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제례문화의 원래 전통이었던 셈이다.

추석 제사상 차리는 모습.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중앙포토]

추석 제사상 차리는 모습.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중앙포토]

한국국학진흥원은 이에 따라 오늘날의 제사음식에서 거품을 걷어내고 원래의 모습을 되찾는다면 제사음식을 둘러싼 갈등이 자연히 해소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은 “전통시대 선조의 덕을 기리고 친족 간의 화합을 다지는 계기가 됐던 제사 문화가 오늘날 그 반대의 효과를 낳는 것은 전통을 잘못 이해했기 때문”이라며 “제사 문화의 원형에서 조상의 뜻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