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물림 되는 비만, 농촌 초등생 비만율 도시보다 3.5%P 높아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02호 14면

선진국들은 비만을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계급’ 문제로 본다. 이들 사회에선 저소득층과 사회문화적 혜택이 적은 농촌 지역의 비만율이 점점 높아지고, 취약 계층의 비만이 대물림되는 현상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최근 발표된 ‘2017 비만백서’의 통계와 추이를 뜯어보면 이미 우리나라의 비만 문제도 선진국과 같이 전형적인 사회경제적 문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먼저 지역적으로만 봐도 서울과 지방의 비만율 차이는 뚜렷하다.

선진국형 사회계급 문제 #사회경제적 지위 높을수록 날씬 #강남·서초구 비만율 가장 낮아 #여성 10명 중 1명 넘게 ‘저체중’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서울은 전국 광역시도별로 가장 비만율(26.74%)이 낮은 지역이다. 서울에서 비만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23.6%)와 서초구(23.8%)다. 이들 두 지역은 비만에 관한한 ‘특별구’다. 정상체중 인구 비율도 44%대로 서울 평균(40.92%)과 전국평균(38.69%)보다 월등히 높다. 그런 한편으론 여성 10명 중 한 명 이상이 저체중(서초 10.7%, 강남 10.82%)이다. 선진국에선 ‘날씬한 것이 고급스럽다’는 체형적 이미지가 확산돼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저체중 여성들이 많은 것이 또 하나의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데 강남·서초구가 같은 양상을 보인다. 반면 가장 비만율이 높은 지역은 강원도(32.51%)이고, 그중에서 철원군(40%)과 인제군(39.3%)이 국내 비만율 1, 2위다. 다음이 인천시 옹진군(39.1%)이다. 서울에서 가장 비만율이 높은 금천구(29.22%)도 전국 250개 기초자치단체별로 나누면 중간쯤(120위)이다.

농촌에선 성인 비만 문제만 있는 것도 아니다. 교육부 자료(2017년 기준)에 따르면, 초·중·고교생 비만율도 농촌지역이 도시지역보다 모두 높았다. 특히 초등학생은 농촌 지역 비만율이 18%로 도시보다 3.5%포인트 높았다. 2015년 1.9%포인트 차이보다 격차가 확 벌어진 것이다. 이렇게 농촌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급격히 살찌고 있는 이유를 교육부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2016년 교육부 자료를 통해 식습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추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농촌 학생들이 아침식사 결식률과 라면 섭취율이 도시 학생들보다 높고, 채소 섭취율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는 농촌 어린이·청소년 비만의 규모와 균형 깨진 식습관 등이 일부 드러나지만, 이에 따른 식습관 교육이나 건강 개선 프로그램 등 대응책은 전혀 없는 상태다.

또 비만 전문가들은 농촌 아동의 비만율이 빠르게 높아지는 현상이 비만의 대물림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2~2016년 영유아 영양행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부모의 비만이 자녀에게 대물림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정상 체중 부모 자녀의 비만율은 3.16%인데 비해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는 14.44%가 비만이었다. 특히 고도비만 부모 자녀의 비만율은 26.33%였다. 부모 중 한 쪽이 비만의 경우 어머니가 비만일 때 자녀의 비만율은 35.19%로 아버지가 비만인 경우(27.25%)보다 훨씬 높았다.

‘비만은 질병이다’. 선진국들은 비만을 사회 문제로 바라보고, 질병으로 대응한다. 최근 정부도 ‘국가비만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질병으로 비만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실제로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2005년 3조400억원 수준에서 2013년에 6조7700억원으로 2.2배 늘었다. 같은 기간 흡연과 음주는 1.4~1.6배 늘어 비만의 비용증가율이 가장 가팔랐다. 또 비만으로 인한 진료비(2013년)는 4조4000억원으로 2005년(1조7000억원)보다 2.6배 이상 늘었다. 진료비로만 보면 흡연과 음주로 인한 진료비보다 1.8배 정도 높다. 그러나 비만율이 높은 농촌의 비만으로 인한 질병과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자료는 없다.

양선희 선임기자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