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 在日한통련 30년만의 만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통련 양동민 부의장 등 관계자 5명이 20일 오전 김대중(DJ)전 대통령을 방문한다. 1973년 김대중 납치사건 이후 30년 만이다.

이들의 인연은 72년 10월유신 선포 후 일본에 머무르던 DJ가 동포들을 규합해 한통련의 전신인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한민통)를 결성, 초대 의장을 맡으면서 시작된다.

당시 DJ의 반(反)정부 활동에 촉각을 곤두세우던 중앙정보부는 한민통 결성식을 1주일 앞둔 73년 8월 8일 납치사건을 일으켰다. 이때 한민통 회원들은 현장에 달려가 마취약 흔적과 혈흔 등을 발견하고 납치로 단정, '김대중 선생 구출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구명운동을 벌였다.

DJ는 납치 6일 만에 동교동 자택으로 돌아왔고, 한민통은 8월 15일 정식으로 출범했다. 당시 한민통의 김대중 구출운동은 국제사회에 한국의 인권문제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에 유신정권은 한민통을 78년 재일동포 간첩사건을 계기로 '반 국가단체' 낙인을 찍었다.

이어 80년 5월 신군부는 한민통과의 관련성을 들어 DJ를 내란음모 혐의로 전격 체포했다. 한민통은 또 다시 김대중 선생 구출위원회를 재건하고 제2차 구명운동에 돌입했다.

이런 인연으로 DJ에게 한통련은 '생명의 은인'이었지만 때론 '부담스러운 존재'였다. '색깔 시비'가 일 때마다 한통련과의 관계가 거론된 것이다. 그는 80년 군사재판에서 한통련과의 관련성을 부인했고, 자신이 정권을 잡고서도 이들의 귀국을 허용하지 않았다.

20일 동교동을 방문하는 강종헌(52) 한국문제연구소 대표는 "섭섭한 감정은 없다. 한국에 오면 꼭 金전 대통령을 만나고 싶었다"고 말했다.

윤창희.김필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