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한도 재테크는 부동산...평양 40평 아파트 10배 뛰어 2억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판 전·월세 "주인은 안방서 자고, 세입자는 부엌살이"

 “요즘 북한에선 돈이 생기면 계속 굴려야 한다는 생각들을 많이 합니다.”

비공개 인터뷰에 응한 탈북자 A씨(지난해 입국)의 첫 마디는 요즘 북한 주민들도 돈에 눈뜨기 시작했다는 얘기였다. 북한은 2002년 경제관리개선조치(7ㆍ1조치)를 통해 주민들의 월급을 수십배 올렸다. 노동자들의 경우 기본급이 한 달에 4000~6000원 가량이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기본급은 거의 그대로다. 그런데 잘 돌아가는 기업소 중엔 기본급 외에 성과급이나 상금 등으로 한달에 10만원을 넘게 받는 곳도 있다. 그야말로 천차만별이다. A씨는 “누구는 얼마를 받고 누구는 얼마 밖에 안된다는 얘기가 계속 들리니 다들 자연스레 돈을 버는 데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평양시 교외의 살림집. 북한 주민들은 최근 재테크에 눈을 떠 부동산에 관심이 커졌다고 한다.[중앙포토]

평양시 교외의 살림집. 북한 주민들은 최근 재테크에 눈을 떠 부동산에 관심이 커졌다고 한다.[중앙포토]

북한에서도 재테크 수단으로 등장한 게 부동산이다. 살림집(아파트) 거래가 활발해 지면서다. 평양에 거주했던 B씨는 “2003년쯤 2만 5000달러에 거래되던 중구역(평양시) 동성동의 40평짜리 아파트가 현재는 20만 달러”라며 “15년 사이에 10배나 뛰었다”고 말했다. 다만 거래가 불법인 데다 거주 이전이 자유롭지 못한 북한에선 한국에서처럼 수시로 이사하는 것은 아니다. 부동산 거래 등에는 해외 친척의 도움을 받아서 또는 해외 근무를 하며 마련한 ‘뒷주머니’를 종잣돈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B씨는 “북한에서 재테크 경험이 있었던 사람들은 남쪽에 와서도 부동산 거래에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다”며 “더러 성공한 사람도 있다”고 귀띔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일부에 연 또는 월 단위로 세를 놓는 경우도 등장했다. 일종의 전ㆍ월세다. 일부는 집을 판 뒤, 남의 집에 얹혀살면서 돈을 불리려 하기도 한다. 신의주에서 살다 탈북한 C씨는 “주인은 안방에서, 세입자는 정지(부엌)에서 사는 경우도 있다”며 “한달 월세는 50~100원 정도”라고 말했다.

평양강냉이가공공장에서 생산한 국수를 정리하는 직원들. 북한의 신흥부자 '돈주'들은 장마당의 가격 동향을 파악해 상품 공급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다.  [중앙포토]

평양강냉이가공공장에서 생산한 국수를 정리하는 직원들. 북한의 신흥부자 '돈주'들은 장마당의 가격 동향을 파악해 상품 공급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다. [중앙포토]

돈벌이에 대한 관심은 특권층이 생활하는 평양보다는 지방에서 오히려 더 크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방일수록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기억이 더 생생하게 남아 있다는 것이다. 탈북자 D씨는 “고난의 행군이 끝난 뒤 ‘양들은 굶어 죽고, 여우는 살아남는다’는 말이 생겼다”며 “국가 배급만 바라보거나, 체면을 생각했던 사람들은 굶어 죽으니 이후 수중에 돈이 있어야 살아남는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고 말했다. 북한 은행 당국은 주민들이 보유한 달러 등의 외화를 회수하기 위해 외환으로 저금할 경우 이자를 더 주겠다며 유인하지만 주민들은 저축보다는 돈을 굴리는 데 더 관심이 많다는 게 탈북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D씨는 “대부분의 장사꾼들이나 일반 인민들은 어떻게 하면 돈을 불릴까를 고민한다”며 “요즘 북한에선 ‘돈이 돈을 낳는다’는 말이 유행”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북한에선 고위층과 결탁하거나 종잣돈을 모아 시장에 일찍 뛰어든 사람들 중 ‘돈주’가 등장했다. 현금 동원력이 막강한 이들이다. 이들은 사재기를 통해 북한의 시장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보이는 손’으로 활동 중이다. 과거엔 5만 달러 이상을 보유하면 돈주로 불렀지만 최근에는 지방에서도 10만 달러를 훨씬 넘는 재력가가 돼야 돈주 소리를 듣는다고 한다. 북한에서도 자본 축적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돈주들은 은행을 대신해 높은 이자로 돈을 빌려주거나, 기업소나 공장에 직접 투자해 이윤을 남기는 경우까지 있다. 돈주들이 늘어나며 돈주들의 돈을 관리하는 일종의 사금융이 생겼다는 소문도 있다. 돈주들은 중앙 또는 지방의 간부들과 결탁해 이권을 챙기는 경우도 많은 데, 이들의 재력과 권한이 너무 커져 북한 경제를 좌우할 정도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임수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쌀값이나 기름값의 변동이 적은 건 돈주들이 사재기했던 물건들을 조금씩 풀며 공급을 관리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돈주의 등장은 북한의 수요공급 체계까지 바꾸고 있다. 계획경제인 북한에선 생산→국가수매→주민 공급이 일반적인 유통 과정이다. 하지만 최근엔 생산→특권층+돈주(도매상)→상인(소매상)→주민으로 변화하는 양상이 등장했다. 특히 장마당이 상설화하고 중국산 물품을 수입해 판매하는 경우가 빈번해지면서 중국상→돈주→택배→되거래상(도매)→매대(소매)로 이어지는 구조도 생겼다고 한다. 특별취재팀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