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사` 중수부 잇따른 악재에 당혹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TABLE cellpadding="0" cellspacing="0" border="0"><TR><TD colspan="2" valign=top style="line-height:20px;">1천380억원대의 현대차 비자금의 용처 수사에 집중하던 대검 중수부가 잇따라 터져나온 악재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검찰은 15일 오전 11시30분께 박석안 서울시 전 주택국장의 자살 소식을 변호인을 통해 전해 듣고 박씨를 조사했던 주임 검사와 직원들을 상대로 조사 과정상 문제가 없었는지 경위를 파악하는 등 긴박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1월 안기부ㆍ국정원 도청 수사가 한창 진행 중 일 때 이수일 전 국정원 차장이 자살하고, 올 초 브로커 윤상림씨 수사 때 최광식 전 경찰청 차장의 비서였던 강희도 경위가 자살한 데 이어 넉 달 만에 다시 악재가 터진 것이다.

오후 2시에 예정됐던 정례 브리핑도 30분 연기됐다.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조사 과정에 무리한 점은 없었다. 박씨는 조사실이 아닌 공개된 사무실에서 조사받았고, 변호인이 조사 과정을 전부 다 알고 있다"며 강압 수사 의혹을 차단했다.

그러나 검찰 설명대로라면 차값을 20% 할인받고 여행 경비를 지원받은 것만으로 네 차례나 소환조사를 받은 셈이어서 박씨 역시 심리적인 압박을 적잖게 느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검찰 내부에서는 이수일 전 차장 사건 이후 반년 만에 중요 소환자가 3명이나 스스로 목숨을 끊자 한동안 잠잠했던 강압 수사 논란이 또다시 확산될까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검찰은 또 현대차 양재동 사옥 증축과 관련된 비자금 용처 수사가 사실상 흐지부지될 가능성도 우려하고 있다.

박씨는 검찰이 양재동 사옥 로비 의혹을 수사하면서 소환조사한 서울시 관계자 중 가장 고위 인사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당초 16일께 정몽구 현대차 그룹 회장과 임원들을 일괄 기소할 계획이었지만, 돌연 정 회장만 기소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별도로 기소키로 기존 방침을 바꾼 것도 이번 자살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박씨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양재동 사옥 인허가 증축 의혹 규명이 힘들자 현대차 비자금 용처의 윤곽이 드러날 때까지 임원들의 기소를 미루는 쪽으로 수사전략을 수정했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채 기획관은 "박씨의 죽음과 현대차 임원들 기소를 미룬 것은 관련이 없다"면서도 "(이번 일이) 양재동 사옥 로비 의혹 수사에 영향이 없다고는 할 수 없다"고 말해 묘한 여운을 남겼다.</TD></TR></TABLE>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