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혈맹'에 무슨 일 있나

중앙일보

입력

중국이 북한과의 접경지대에 인민해방군을 배치, 그 의미와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양국 접경지대에 그동안 우리의 경찰에 해당하는 공안(公安) 병력을 배치하는 다소 느슨한 형태의 국경 개념을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새로 배치된 병력수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국내 전문가들은 2~3개 사단 이상의 병력은 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뉴욕 타임스는 16일 '중국, 북한 접경지대로 병력 이동'이라는 제목의 베이징 발(發)기사에서 "중국의 군병력 배치가 북핵문제가 발생한 미묘한 시점에서 이뤄졌다"고 지적하고 "혈맹관계를 유지해온 북한과 중국 사이에서 미묘하지만 중요한 변화가 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워싱턴 포스트도 존스 홉킨스 대학의 중국 전문가 데이비드 램튼 교수의 말을 인용, "중국이 북한의 핵문제를 둘러싸고 평양에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중국은 미국의 이 같은 해석에 펄쩍 뛰고 있다. 중국 측의 설명은 북한이 지난 6월 경찰로 이뤄진 국경수비대를 군인으로 대체한 것에 맞춰 그동안의 비정상적인 국경수비를 정상화한 것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북한이 국경수비를 군인에게 맡긴 이유는 북한 최대 외화 수입원인 북.중 밀무역을 인민무력부가 관할하려 나서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이뤄졌다는 분석이다. "마약 및 위조지폐로 수입을 올려오던 북한의 인민무력부가 일본 등 '시장'이 됐던 국가들이 경계.검색을 강화하자 새로운 수입원을 확보하려 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홍콩의 중국 군사문제 전문가인 마딩셩은 북한의 전반적인 상황, 특히 탈북자에 대한 중국 정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탱크와 야포를 갖추지 않은 국경수비군은 정세가 불안정한 중국 서부의 신장 위구르 같은 지역에도 배치돼 있다"고 덧붙였다. 통일연구원 정영태(鄭永泰)선임연구원도 "중국의 인민해방군 투입을 중국의 대북 압박이라고 보기 힘들다"며 "이번 조치가 탈북자 망명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일 공산이 크다"고 말했다.

[베이징=유광종 특파원,서울=최원기 kjy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