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무궁화 북한서 이렇게 부른다…북한 식물명 절반 남한과 달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무궁화는 북한에서 무궁화나무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무궁화는 북한에서 무궁화나무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북한에서 사용하는 식물 이름의 절반가량이 남한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북한 지역의 식물 3523종이 담긴 ‘조선식물지’를 국립생물자원관이 발간하는 ‘국가생물종목록’과 비교한 결과, 50%가량인 1773종의 식물명이 남한과 다르다고 15일 밝혔다.

조선식물지는 임록재 박사 등 18명의 북한 식물학자가 2000년에 발간했으며, 북한 지역의 식물학적 연구가 종합적으로 정리된 문헌이다.

유형별로는 외래어 순화, 비속어 배척 등 남북한의 정책적인 원인에 따른 차이가 18% 정도였고, 합성명사 유무와 같은 단순한 차이가 10%, 두음법칙의 미사용 등의 표준어 표기법 차이가 7%를 차지했다.

작약을 함박꽃, 무궁화를 무궁화나무로 불러 

작약은 북한에서 함박꽃으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작약은 북한에서 함박꽃으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대표적으로 미나리아재비목에 속한 작약은 북한에서는 함박꽃으로 부른다. 이 식물은 한반도를 비롯해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에 분포한다.

장미목에 속한 자도나무는 북한에서는 추리나무로 불린다. 마디풀목에 속한 소리쟁이는 북한에서 송구지로 부르며 나물로 먹는다.

북한에서는 무궁화나 오미자를 부를 때에도 뒤에 ‘나무’를 붙여서 합성명사인 무궁화나무, 오미자나무라고 한다.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남한의 경우 국명을 최초 부여한 문헌의 선취권을 인정해 국명이 정해지지만, 북한의 경우 국가 또는 일부 학자에 의해 제시된 통일된 정책적 기준으로 식물명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식물 이름에 외래어·비속어 배제

소경불알은 북한에서 만삼아재비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소경불알은 북한에서 만삼아재비로 불린다.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북한은 식물명을 지을 때 한자어나 외래어, 비속어 등을 배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소경불알과 쥐똥나무, 기생꽃은 북한에서 각각 만삼아재비, 검정알나무, 애기참꽃으로 불렸다.

또, 일본목련을 북한에서는 황목련으로 부르는 등 식물명에 지역 명칭을 사용하는 것도 피했다.

장군풀 등 북한 고유종도 발견 

북한에 주로 서식하는 들쭉나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북한에 주로 서식하는 들쭉나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이번 조사에서는 남한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북한 고유종들도 발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조선식물지에 기록된 식물 중 남한 문헌에 없는 식물은 총 314종으로 나타났다. 또, 전 세계에서 북한지역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은 장군풀, 쌍실버들 등 58종으로 조사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 조사를 토대로 ‘국가생물종목록’과 북한의 ‘조선식물지’의 차이점을 정리한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을 15일 발간했다.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 생물다양성 이북(E-book) 코너에서 볼 수 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한반도 생물다양성의 총체적인 규명을 위해서는 남북한 생물표본의 상호 교환, 연구자들의 공동 조사 등 남북협력이 필수”라며 “‘국가생물종목록집­-북한지역 관속식물’이 남북한 교류의 징검다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