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 시행하라" 광역버스 업체 요구에 인천시는 고민 중

중앙일보

입력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정문. 인천지역 광역버스 업체 관계자와 근로자 등 50여 명이 '지원 없는 광역버스 기사 없이못 굴린다', '광역버스 생존위협 시민불편 가중된다'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구호를 외쳤다. 벌써 4일째다.

인천 광역버스 업계, 4일째 시청 앞에서 집회 #'경영 악화로 버스 운행 힘들다" 준공영제 도입 요구 #인천시는 확대 시행 난색, "대책 논의 중"

주변엔 빨간색 광역버스 15대가 주차돼 있었다. 버스에도 '시내버스·광역버스 임금 격차웬 말인가?'라는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광역버스 업체들이 직접 몰고 온 것이다.
광역버스 업계 관계자는 "어제(9일) 인천시에 '21일부터 광역버스 운행을 중단하겠다'는 내용의 폐선 신고서를 냈는데도 시에선 아직 별다른 말이 없다"고 했다.
이들은 오는 24일까지 시청 앞에 집회 신고를 한 상태다.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인천 광역버스업체 근로자들이 준공영제 도입을 인천시에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서 인천 광역버스업체 근로자들이 준공영제 도입을 인천시에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지역 광역버스 업체들의 폐선 신고에 인천시가 고민에 빠졌다.
폐선 대상은 국토교통부가 관할하는 광역급행버스(M버스)를 제외한 인천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 6개 업체 19개 노선(259대 버스)이다. 대부분 인천에서 서울역·강남 등을 오가는 노선이다.
인천시는 오는 16일까지는 이들이 신고한 노선 폐지 수용 또는 반려 여부를 회신해야 한다.

만약 시가 노선 폐지를 수용할 경우 다른 운송사업자를 구할 때까지 21일부터 인천 광역버스 전체 노선(11개 업체 28개 노선, 344대 버스)의 67.8%가 운행 중단된다.

광역버스 업자들은 "최저 시급 인상과 운수 종사자 휴게시간 보장법 신설로 운송 수지 적자는 계속되고 있다"며 "여기에 준공영제가 시행되는 시내버스와의 임금·처우 격차로 운전기사들이 다른 곳으로 이직해 근로자 부족으로 사업을 더는 지속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시내버스에만 도입된 버스 준공영제를 광역버스까지 확대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10일 오전 인천시 남동구 인천시청 앞에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인천시도 이런 광역버스 업계의 어려움을 알고 올해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분 등 23억원을 지원하려는 계획을 검토했었다.
하지만 준공영제 지원 대상이 아닌 광역버스 업계에, 그것도 임시방편으로 지원금을 주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그렇다고 준공영제 지원 대상을 광역버스까지 확대하자니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은 인천시 입장에선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2009년부터 준공영제가 도입된 시내버스(32개 업체 156개 노선, 1861대 버스)의 경우 올해 지원금만 1050억원으로 예상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광역버스까지 준공영제가 확대되면 거액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며 "현재 국비 요청 등 다각도로 광역버스 대책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최모란 기자 mor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