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생각은

위기에 처한 '해외 민족교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3면

지난 50년간 조총련계 조선학교는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초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운영하면서 우리말과 문화를 통한 민족교육을 실시했다. 북한도 조직확장 사업 차원에서 1957~90년 약 342억원을 지원했다. 그러나 지금 조총련계 학교는 붕괴될 처지에 있다. 일본사회의 차별, 진로 불안, 비싼 수업료, 북한 정권의 대행자 역할만 하려는 조직 상층부의 노쇠하고 경직된 사고 때문이다. 학생이 날로 줄고 교원 봉급 수준도 일본 학교의 절반이라니 이들의 미래는 어둡다.

조선조 말엽 이후 우리 민족의 근대사는 고통과 아픔의 연속이었다. 중국 조선족, 러시아 고려인, 재일교포는 살아 있는 증거다. 이들은 낯선 남의 나라에서 온갖 설움과 차별 속에 살면서도 우리 말.글.문화를 지켜 내는 데 전력을 다했다. 이제는 이들의 민족교육을 위해 적극 실천해야 한다.

해외동포 민족교육에 대한 민간 차원의 노력은 오랜 역사를 갖는다. 동북아 평화연대의 중국 조선족 교육지원사업, 고려인 민족학교 지원 사업 등이 그 예다. 그러나 성금.자원봉사자 등에 의한 민간 지원에는 한계가 있다. 지난해 9월 고려인을 포함한 러시아인이 한글교육을 의무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모스크바 정부의 허락을 받아 우수리스크의 제3학교를 새롭게 개교했다. 그러나 교실 증축 자금이 없어 3부제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해외 동포들의 민족교육 지원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민족적 채무다. 과거 조국이 돌보지 못한 동포의 후손에 대한 미안함을 최소한이나마 표시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이들 동포를 세계 한민족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끌어들여 민족의 귀중한 자산으로 삼는 첫 단추다. 통일 한국과 국경을 맞댈 중국에 200만 명 이상의 중국공민이 우리와 문화적 동질감을 느끼며, 통일 한국을 모국으로 생각한다면 이보다 더 큰 인적 자원이 어디 있는가. 정부와 민간이 해외 동포사회의 민족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가져야 한다.

조남철 한국방송통신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