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에코델타시티' 총지휘하는 천재원이 그리는 스마트시티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천재원 부산 에코델타시티 총괄계획가.

천재원 부산 에코델타시티 총괄계획가.

부산 에코델타시티 조성의 키를 잡은 천재원(46) 총괄계획가(MP)는 국내에선 다소 낯선 이름이다. 하지만 해외에서 이미 스마트시티를 육성해본 경험이 있다. 그가 공동 창업하고 대표로 일했던 '엑센트리'라는 투자회사는 영국 ‘캐너리 와프’(Canary Wharf) 금융지구의 스마트시티 플랫폼인 ‘코그니시티’(Cognicity) 프로젝트 기획에 참여했다. 현재 이곳에는 250개 이상의 스타트업이 입주해있다.그런 그가 이번에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 수준의 신도시급 건설을 지휘하게 됐다.

인프라가 전무한 신도시에 스마트 시티를 건설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 않나.
"유럽에선 시민들이 도시의 문제의식을 공유한 뒤 참여 플랫폼을 만들고, 여기서 기술을 접목해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신도시는 이런 데이터를 모을 수가 없기 때문에 실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부산이라는 원도심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관심 있는 시민과 혁신 기업으로부터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아 나가야 한다."
단순한 기술 중심의 도시로는 매력이 없지 않나.
"그렇다. 사람 중심의 스마트시티가 돼야 한다. 신도시를 만들어서 분양하는 게 아니라 혁신적인 사람이 들어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규제를 완화해야 하고 행정적인 당근책을 제시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구 150만에 불과한 에스토니아 탈린은 전 세계 스타트업을 끌어들이는 정책을 쓰고 있다. 주민등록번호를 블록체인화 하는 'e 레지던스' 정책을 통해 전 세계 스타트업이 열광하는 도시가 됐다."
한국의 스마트시티가 성공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정부가 지원해 주는 기존 프로그램은 스타트업들에 당장 쓸 ‘용돈’을 주는 개념이었다. 이런 용돈으로는 연구개발(R&D)을 통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예전처럼 신도시에 몇몇 기업이 독점해서 입주한 뒤 갑·을·병·정의 형태로 생태계가 조성되는 것이 아니라 민주적인 방식으로 조성해야 한다. 역량 있는 기업이 입주해 역할을 하고 실증을 할 때까지 5개월 정도는 정부가 자율성을 주고 ‘태워줘야(지원해야)’ 한다."
스마트시티의 궁극적인 목표는.
"일차적으로는 인근 도시에 파급효과가 있다. 3차 산업 중심의 동남권 산업을 4차 산업으로 전환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비슷한 규모의 해외 스마트시티와 교차 실증을 통해 시장을 확장해 나갈 수 있다. 해외 기업이 스마트시티에 입주하는 것처럼 우리 기업도 해외의 스마트시티에 나가 해외의 예산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