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앙 시조 백일장] 6월 수상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장원

꽃피는 손수레 
-남궁 증

거친 손 열 손가락 상처 깊은 저 손수레

질척이는 시장 안을 맨몸으로 굴러간다
꽉 물은 자식걱정에 헛바퀴는 자꾸 돌고

깨진 무릎 덧댄 상처 헝겊으로 칭칭 감아

얼기설기 실은 짐에 살과 살을 맞대면
시장 끝 가파른 길도 등을 숙여 숨 고른다

가난한 맘 서글픈 맘 어루만져 다시 보고

수천 원의 꽃잎 호명 손위에서 피어날 때
살 에는 햇살을 딛고 아버지! 걸어간다

◆남궁 증

남궁 증

남궁 증

1960년 강원도 홍천 출생. 현재 태백시청 근무. 중앙시조백일장 2017년 7월 차상. 제21회(2018년) 공무원문예대전 시조부문 금상(국무총리상). 수년 동안 중앙시조백일장 심사평을 위주로 습작.

차상

대룡시장* 신발가게 
-강영석

총성이 벗어놓은 철 가시 둘러멘  섬

좌판 위에 서성이는 먼지 쌓인 신발들이
덤불 틈, 비집고 넘는 바람 한 점 신습니다

쓸어내리면 더 아픈 기억 얼룩을 닦습니다

옹이 빠진 지팡이 짚고 버티고 선 어르신
걷어둔 향기 한 장을 깔창 위에 포갭니다

하루 해가 건너 포구 선착장에 닿을 때면

불면으로 뒤척이듯 발걸음은 엉켜져도
허기진, 그리운 고향 밑창 잇새 끼웁니다
*대룡시장: 강화군 교동도 민통선 안에 실향민들이 꾸린 시장

차하

염전
-고경자

수십 개 조각보 이어 붙인 소금밭에

바람이 박음질해 놓은 하얀 결정체
증발한 부귀영화도 티끌 모아 태산일까

젊은 한때 짠 맛도 모른 채 살다가

아버지의 마지막 유언 같은 그 맛에
염전을 지키는 텃새, 바닥을 쪼고 있다

이달의 심사평

초여름의 싱그러운 녹음이 생명의 활기를 불러일으키는 6월, 살아 숨 쉬는 체험을 생생한 감각으로 녹여낸 작품들이 먼저 눈길을 끌었다. 그러나 아직도 시조장르의 존재의미인 율격의 운용에 대한 올곧은 이해가 부족한 작품들이 많았다. 이런 선정척도에서 가장 무난한 호평을 받은 남궁 증의 ‘꽃피는 손수레’를 장원에 올린다. 시장 안의 “손수레”를 통해 고단하고 힘겨운 가난의 무게와 삶의 역경을 헤쳐 나가는 아버지의 사랑을 밀도 높은 현장감과 선명한 심상으로 조명해내고 있다. 첫수 “열 손가락” “맨몸” “헛바퀴”의 괴로운 손수레는 둘째 수 “상처” “짐” “가파른 길”로 인식되는 고통스러운 현실적 삶을 수용하고 셋째 수 “꽃잎 호명” “햇살”의 이미지로 반전되면서 “아버지!”의 강인한 생명의지로 아름답게 형상화된다.

차상으로는 강영석의 ‘대룡시장 신발가게’를 올린다. 주석에서 밝혔듯이 민통선 안의 시장인 대룡시장 신발가게의 모습을 통해 실향민의 아픔과 그리움을 군더더기 없는 묘사로 탄력 있게 그려낸 수작이다. “먼지 쌓인 신발” “얼룩” “발걸음”이 단절과 향수의 비극적 현실을 더 생생히 부각시킨다.

차하로는 고경자의 ‘염전’을 선한다. 아버지가 남기신 염전에서 삶의 진정성을 발견해내는 종장처리의 감칠맛 나는 묘미가 돋보였으나 “부귀영화” “티끌 모아 태산” 같은 안이한 관념어가 흠결로 지적되었다. 이 외에도 이현정, 김정애, 조우리 등의 작품이 논의되었으나 앞으로의 정진을 기대한다.

심사위원: 박권숙·염창권(대표집필 박권숙)

초대시조

물의 화엄 
-김영주

한바탕 소용돌이 휩쓸고 간 모래톱에

깨진 병조각이 시퍼렇게 꽂혀 있다
누구든 스치기만 해도
살을 쓰윽 벨 기세로

파도는 너른 품으로 보듬었다간 돌아서고
눈물을 삼키면서 보듬었다간 돌아서고
제 혀를 자꾸 베이며
끌어안고 핥아준다

그렇게 숱한 날들이 지나고 또 지난 후에
너울도 닳아져서 지쳐 그만 잦아든 후에
그제야 날「刃」을 다 버리고
둥글게 내주는 몸

◆김영주

김영주

김영주

경기도 수원 출생. 2009년 문예지 ‘유심’을 통해 등단. 시조집으로『미안하다 달』 『뉘엿뉘엿』 『오리야 날아라』 등이 있으며, 중앙시조대상 신인상을 수상했다.

언젠가 바닷가에서 에메랄드 빛 보석 하나가 파도에 휩쓸리며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문득 궁금해서 건져보았더니, 깨어진 소주병 조각이었다. 물론 맨 처음 깨어졌을 때는 여기저기 삐죽삐죽 모가 났을 게다. 하지만 오랜 세월동안 파도가 끈질기게 애무해준 덕분에 둥글둥글 모가 달아서 이제는 귀걸이를 해도 될 것 같았다.

시인도 아마 비슷한 경우를 본 모양이다. 그런데 시인은 놀랍게도 깨진 병조각을 끊임없이 보듬어주었던 파도에다 곧장 고성능 현미경을 들이댄다. “끌어안고 핥아”줄 때마다 날카로운 병조각에 ‘제 혀가 베여’ 시퍼런 바다의 한쪽 귀퉁이를 온통 붉은 피로 물들였던 파도! 바로 그 파도가 제 몸을 온통 상처투성이로 만들면서 줄기차게 보듬어준 덕분에 깨진 병은 마침내 “날[刃]을 다 버리고” 보석으로 바뀐다. 이게 바로 ‘물의 화엄’이다.

“풀잎이 V 요렇게 돋아나는 까닭은/ 사람과 사람 사이 파고들고 싶단 말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고 싶단 말씀// 풀잎이 또 V 요렇게 돋아나는 까닭은/ 사람과 사람 사이 띄어주고 싶단 말씀/ 가까워 너무 가까워 상처 주지 말란 말씀//풀잎이 자꾸 V 요렇게 돋아나는 까닭은/ 사람도 풀잎처럼 손 내주고 살란 말씀/ 손잡고 바람 부는 대로 흔들리며 살란 말씀”. 같은 작자의 ‘풀잎이 하는 말씀’이란 시다. 앞의 시가 ‘물의 화엄’이라면 뒤의 시는 ‘풀의 화엄’이다. 화엄 세계가 어디 먼 곳에 따로 있기야 하겠는가. 우리 모두가 물이 했던 행위와 풀잎의 말씀대로 살기만 하면, 바로 이 사바세계가 절대적인 조화와 항구적인 평화가 공존하는 참말로 눈부신 화엄 세계가 되지 싶다.

이종문 시조시인

◆응모안내

매달 20일 무렵까지 우편(서울시 중구 서소문로 100번지 중앙일보 문화부 중앙시조백일장 담당자 앞. 우편번호 04513) 또는 e메일(choi.sohyeon@joongang.co.kr)로 접수할 수 있습니다. 02-751-5379.

ADVERTISEMENT
ADVERTISEMENT